2024년 04월 20일 토요일

  • 서울 16℃

  • 인천 15℃

  • 백령 14℃

  • 춘천 15℃

  • 강릉 12℃

  • 청주 15℃

  • 수원 14℃

  • 안동 16℃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4℃

  • 전주 15℃

  • 광주 14℃

  • 목포 15℃

  • 여수 15℃

  • 대구 16℃

  • 울산 16℃

  • 창원 18℃

  • 부산 17℃

  • 제주 15℃

국내시장은 불투명···해외 시장도 만만치 않아

[2015년 경제전망-건설·부동산]국내시장은 불투명···해외 시장도 만만치 않아

등록 2014.12.09 09:09

수정 2014.12.09 09:13

김지성

  기자

정부, 강력한 부양책 불구 소폭 개선 전망유가불안 美 금리인상 등 해외악재는 불안

올해 건설·주택 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부양책에도 침체 국면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내년 역시 소폭의 개선이 점쳐지지만 올해와 비슷한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국내 건설수주는 활황기인 2007년과 비교하면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올해와 비교해서는 다소 개선될 전망이다.

◇현금 유동성 위기 지속
건설업계 체감경기가 70.4를 기록, 8개월 만에 다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져 내년에도 큰 폭의 경기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15년 건설 경기 전망’에서 국내 건설수주가 전년과 비교해 4.9% 증가한 110조원(경상금액 기준)을, 건설투자는 같은 기간 3.4% 증가한다고 예측했다.

건산연은 올해 회복 국면에 진입한 건설경기가 내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수주액이 110조원에 불과해 건설경기 침체 직전인 2007년(127조9000억원)과 비교해 여전히 저조하다”고 진단했다.

사업주체별로는 민간 수주가 비주거 건축과 토목수주가 증가해 전년과 비교해 6.6% 증가한 69조7000억원을 기록하리라고 내다봤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택수주 회복, 일부 회복한 거시경제와 대기업 설비투자 증가 등 효과라는 것.

반면, 공공 수주는 토목수주 증가에도 건축수주가 부진해 전년과 비교해 2.0% 증가한 40조300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공종별로 토목수주가 4.4%, 건축수주가 5.1% 각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건산연은 건설경기 회복세 지속을 위해 불확실성 요인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국회 계류 중인 부동산 관련 입법안의 입법화가 앞으로 건설경기 회복세를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수 법안이 입법화하지 않고 9·1대책 후속조치로 입법예고한 대책이 시행에 차질을 빚고 있어 회복세가 꺽일 가능성이 높다.

국내 거시경제에 미국 양적완화 종료, 유럽 성장 모멘텀 저하, 중국을 비롯 신흥국 성장률 둔화, 중동 위기 유가상승 등이 불확실성 증대에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건설업체 유동성 위기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기저효과 등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2013년 건설수주가 11년 내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볼 때 매출과 수익 등 업계 실적은 당분간 저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대한건설협회가 최근 발표한 상장건설사 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이자보상비율이 63.0%를 기록했다. 전년 상반기 102.0%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건설사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건설경기가 회복국면에 접어들었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유럽의 성장 모멘텀 저하 등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과거와 달리 회복국면이 상대적으로 짧고 회복 수준이 낮을 것을 고려해 위험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건설경기 회복국면 중에 국내 건설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구조조정 전략을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외수주 유가하락에 발목
내년 해외건설에서는 국제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주요 산유국으로 부터 발주량 감소가 예상된다.

현재 산유국 주요 발주처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올린 수주액(올해 11월까지)은 총 29억5113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87억5826만달러)의 3분의1로 급감했다. 사우디 정부는 올해 건설투자 규모를 661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3%가량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3년간 국내 건설사 해외수주 1위 지역이던 사우디아라비아는 올해 순위가 아랍에미리트(UAE)와 베트남에도 밀려 7위로 하락했다. 카타르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가 줄어든 9억5786만달러에 그쳤다.

중동 산유국들의 수주 감소는 유가 하락으로 재정수입이 줄어들면서 원유·가스 플랜트 발주를 줄였기 때문이다.

유가 폭락으로 산유국들의 재정압박이 심해져 플랜트 발주는 더욱 위축할 전망이다.
정부 예산의 95%를 원유 판매 수입에 의존하는 이라크는 예산안을 폐기하고 새로운 예산안을 편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이라크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라크 정부는 애초 155조디나르(약 1340억달러)였던 내년 예산을 48조디나르(약 414억달러)로 대폭 삭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건설업계는 나름의 대비책을 통해 위기를 넘기겠다는 계획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해외수주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동은 유가 움직임에 민감하다”면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유가 하락세가 가팔라 완벽한 대비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수주 활동은 짧게는 1~2년, 길게는 5년 정도 걸린다. 유가 하락에 따라 당장 발주가 줄어들거나 하지는 않는다. 유가 하락 이외도 환율 등 다양한 요인이 수주에 영향을 끼친다. 신시장 개척 정보 네트워크 사업 등 대비책도 항시 가동 중”이라고 말했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