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7일 수요일

  • 서울 11℃

  • 인천 8℃

  • 백령 9℃

  • 춘천 8℃

  • 강릉 13℃

  • 청주 11℃

  • 수원 8℃

  • 안동 10℃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9℃

  • 목포 9℃

  • 여수 14℃

  • 대구 13℃

  • 울산 12℃

  • 창원 13℃

  • 부산 12℃

  • 제주 12℃

금융당국·은행·업계·벤처캐피탈사 ‘난상토론’···“핀테크 혁신 위해 규제완화 필수”

금융당국·은행·업계·벤처캐피탈사 ‘난상토론’···“핀테크 혁신 위해 규제완화 필수”

등록 2015.02.10 15:50

송정훈

  기자

신제윤 위원장 “금융권 핀테크 기술 수용 위한 인식전환 필요”

금융권의 화두 핀테크(금융과 기술의 결합)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업계별로 요구사항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직불결제 업무를 하는 핀테크 업계는 은행수수료 인하 등을 요구했고 시중은행은 보안문제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규제 완화를 촉구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 금융당국과 시중은행, 핀테크업계, 벤처캐피탈사 등이 한자리에 모인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은행권 간담회’에서다.

10일 서울 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에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혁신적 핀테크 기술 수용을 위한 금융권의 전향적인 인식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실제로 핀테크 산업이 발전한 선진국들은 정부가 아닌 금융사들이 중심이 돼 핀테크 생태계 조성을 주도하고 있다”며 “금융사들이 핀테크 업체를 자회사로 만들어서 스스로를 공격하게 만들라는 제언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사 스스로 변화하지 않으면 핀테크라는 거대한 흐름에서 결코 승자가 될 수 없다는 충고를 한 것이다.

신 위원장은 또 “핀테크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라며 “조속한 시일 내 핀테크 지원센터를 구축해 행정상담, 자금지원 등 핀테크 창업에 필요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금융권 핀테크와 관련해 각계의 다양한 요구가 이어졌다.

핀테크 업체인 인터페이 김근묵 대표는 “지난 2년여간 직불결제에서 시작해 빅데이터 활용하는 금융소프트웨어까지 핀테크 업계가 발전하고 있다”며 “직불 결제활성화를 위해선 결제한도 상향은 물론, 은행 수수료 인하 등 정부의 지원책이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우석원 농협은행 부행장은 “보안성 강화가 안된 핀테크 기술을 은행이 도입했을 때 보안사고가 나면 어떻게 책임을 지느냐가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며 “당국은 공인인증서를 폐지한다는 데 그러면 그에 상응하는 보안 기술이 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 부행장은 “은행은 많은 고객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며 “정부의 보안성 강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핀테크 신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대명 국민은행 미래채널본부장은 “핀테크 발전을 위해선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이 필요한데 고객정보 유출 사태 후 관련 규제가 강화된 게 현실”이라며 “금융계열사가 보유한 고객 거래정보 등을 고유할 수 있게끔 사전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감담회에서 참석자들은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며 각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의견과 건의사항을 개진했다.

은행들은 핀테크를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금융지원, 컨설팅 등 적극적 지원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금융산업의 특성상 보안성이 담보되지 않은 편의성은 성공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핀테크 업체들의 경우, 특정기술 강요 금지, 크라우드 펀딩 법안 통과 등 새로운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가로막는 금융규제의 신속한 개선을 건의했다.

벤처캐피탈 회사들은 향후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핀테크 기업의 성공조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성공사례가 조속히 나와야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기업·신한·국민·우리은행 등 시중은행과 와디즈 등 핀테크 업체, DSC 인베트스먼트 등 벤처캐피탈사 등이 참석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

뉴스웨이 송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