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4℃

  • 인천 5℃

  • 백령 7℃

  • 춘천 6℃

  • 강릉 8℃

  • 청주 6℃

  • 수원 4℃

  • 안동 5℃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6℃

  • 전주 7℃

  • 광주 6℃

  • 목포 8℃

  • 여수 9℃

  • 대구 6℃

  • 울산 9℃

  • 창원 7℃

  • 부산 9℃

  • 제주 8℃

어디로 가지? 분양시장 대폭발

어디로 가지? 분양시장 대폭발

등록 2015.03.10 16:54

서승범

  기자

전국 34만가구··· 수도권 물량만 63%
공급과잉·양극화 현상 풀어야할 숙제

올해 초 분양한 한 아파트 본보기집에서 방문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웨이 DB올해 초 분양한 한 아파트 본보기집에서 방문객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웨이 DB


올해 건설사들이 사상 최대 분양 물량을 쏟아낸다. 박근혜 정부가 우호적인 부동산 대책을 지속해 내놓아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는 데다, 올해 청약 1순위자격 완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저금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분양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더욱 유입될 것으로 판단해서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은 약 34만7000가구로 예정됐다. 이는 부동산 분위기가 최고점에 달했던 지난 2002년 분양가구 수(32만5000가구)를 넘은 역대 최대 규모다. 여기에 공공아파트 분양물량까지 합치면 4만가구에 육박할 것이란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내달만 5만8784가구가 공급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2000년 이후 월간 최대 물량으로 10대 건설사들의 브랜드 아파트만 1만7542가구가 선보여진다.

올해는 수도권 분양물량이 매우 증가했다. 올해는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서 총 18만9043가구가 공급된다. 이는 전국 분양물량의 61.3%를 차지하는 것이다.

시·도별로는 경기에서 11만9022가구가 공급돼 2015년 가장 많은 물량이 분양된다. 이어 서울(5만9903가구), 충남(2만3641가구), 경남(1만7711가구), 경북(1만4060가구), 부산(1만2787가구), 충북(1만2588가구), 세종(1만1134가구), 인천(1만118가구), 전북(6863가구), 전남(5330가구), 대구(4085가구), 울산(3588가구), 대전(2681가구), 광주(2422가구), 제주(1258가구), 강원(1146가구) 순이다.

특히 건설사들이 지난해 뜨거운 분양시장 분위기에 편승하고자 상반기에 공급을 앞당겨 전체 분양 물량의 58.1%(17만92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분양시장도 활황세를 띌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 살리기’ 정책과 갈수록 높아만 지는 ‘미친 전셋값’에 전세민들이 분양시장으로 발길을 돌릴 것으로 봐서다.

실제 지난 1월 분양한 마곡13단지 힐스테이트 마스터는 총 820가구 모집에 2만2635명이 몰려 평균 청약경쟁률 27.6대 1의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동월 분양에 나선 ‘창원감계 푸르지오’ 역시 5.43대 1을 기록하며 1순위에서 전타입 마감했다.

최현일 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세가율이 70%를 넘어가니깐 세입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매매수요로 넘어가고 있다. 또 매매수요로 넘어오는 과정 중에 일부는 분양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어 주요지역 중심으로 분양시장 분위기가 밝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에도 공급이 많았고 지역별 양극화 현상도 심화한 상태에서 공급이 쏟아지면서 흥행을 장담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김영곤 강남대 교수는 “국내 건설사들이 분위기가 좋지 못해 미뤘던 물량을 올해 대거 쏟아내 수요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는 것”이라며 “다만 실물경제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 언제 그 효과가 사라질지 모르는 상태”라고 분석했다.

최승섭 경실련 부동산감사팀 부장은 “위례신도시·동탄2신도시 등 특정 지역에서의 분양은 정부와 언론의 호도 등에 따라 잘 될 것으로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공급량도 많아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사가 상반기에 공급량을 대부분 앞 당겨 공급하는 것은 건설사 스스로 부동산시장의 불투명함을 알기 때문이라며 대출을 받아 집마련을 고민 중인 수요자들은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미국의 금리인상 등 대외변수가 존재해 앞으로의 섣불리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분양시장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이나 공공택지 등 일부 지역에 몰릴 가능성이 높다”며 “아직 시장 회복의 신호라고 말할 단계가 아닌 만큼 무리한 대출은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집값 회복이 묘연한 상황에서 집주인들은 떨어지는 집값 보전분을 전세로 메꿀 공산이 커 전세가율은 지속해서 커질 것”이라며 “깡통전세와 함께 미국발 금리인상 여파가 맞닿는다면 집값 하락이 가팔라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