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8일 목요일

  • 서울 9℃

  • 인천 10℃

  • 백령 7℃

  • 춘천 9℃

  • 강릉 9℃

  • 청주 9℃

  • 수원 10℃

  • 안동 8℃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9℃

  • 전주 10℃

  • 광주 11℃

  • 목포 10℃

  • 여수 12℃

  • 대구 9℃

  • 울산 11℃

  • 창원 10℃

  • 부산 14℃

  • 제주 12℃

④기술능력 키워야 해외서 돈 번다

[건설산업 위기 바꿔야 산다]④기술능력 키워야 해외서 돈 번다

등록 2017.01.17 10:36

수정 2017.01.17 10:49

서승범

  기자

국내주택시장 악화 수익보존 한계 도달해외시장 안정보단 리스크 확대 가능성전문가들 기술향상만이 저가수주 해법금융기관 수익성 평가 의무화制 활용도

국내 건설업체들이 국내 주택시장으로 큰 이익을 얻었지만, 해외현장에서 발생한 손실 탓에 기대만큼의 성장세를 보이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건설사들이 주택시장에서 벌어 해외에서 까먹는 ‘국부유출’을 막기 위해 저가수주를 근절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 현장 전경.국내 건설업체들이 국내 주택시장으로 큰 이익을 얻었지만, 해외현장에서 발생한 손실 탓에 기대만큼의 성장세를 보이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건설사들이 주택시장에서 벌어 해외에서 까먹는 ‘국부유출’을 막기 위해 저가수주를 근절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 현장 전경.

국내 주택부동산 경기 침체가 예상되면서 대형건설사들이 다시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건설사들이 저가·양적수주를 지양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강하게 일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주택경기 호황에 공격적으로 분양사업에 나선 건설사들은 큰 이익을 기록했지만, 사실상 해외 적자를 메꾸는데 대부분의 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기술력을 키워야 해외 수주 경쟁력이 올라가고 저가 수주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수주 밑빠진 독 물붓기=건설사들의 지난해 매출 증가는 주택사업이 이끌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만 해도 10대 대형건설사들의 주택사업 비중은 1~2년 전보다 많이 증가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의 지난해 건축·주택 사업 부문 매출액은 8조9921억9800억으로 전체 매출액의 44.61%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대비 2배 이상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

현대건설 역시 지난해 3분기 기준 건축·주택 부문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29.7%를 차지하며 2015년과 2014년과 대비해 매출액 비중이 약 8~9% 늘었다. 대림산업도 주택·건축 부문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40.6%를 차지하며 15%가량 비중이 증가했다.

현대산업개발은 도급사업(1150억7800만원)과 자체사업(1804억5000만원)을 통해 전체 영업이익 중 75%를 달성했다.

문제는 번 돈이 부실 해외현장으로 빠져나갔다는 점이다. 실제 대우건설의 경우 지난해 국내건설업체 중 가장 적극적으로 주택시장에 뛰어들었지만, 해외건설에서의 손실반영 여파로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북아프리카 알제리 ‘RDPP 복합화력발
전소’ 사업, 동남아시아 건축 프로젝트 등에서의 손실이 반영돼서다. 재작년에도 대우건설은 주택사업으로 매출액을 끌어올렸지만, 동남아시아 건축사업장 등에서 손실을 보면서 영업이익은 오히려 크게 감소한 바 있다.

포스코건설도 지난 2011년 3분기부터 2016년 1분기까지 흑자를 기록했지만, 브라질 등 해외프로젝트에서 원가율이 크게 올라 대규모 영업손실을 보면서 분양시장 호황에도 지난해 2분기 들어 적자로 돌아섰다. GS건설 역시 지난 2013년 무려 9355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입어 주택사업 호황으로 인한 상승세를 무색하게 했다.

수천억원을 해외 손실로 메웠지만, 추가 원가율 조정 및 미청구공사 손상차손 위험도 잔존해 추가 손실도 우려되고 있다.

◇출혈경쟁 결국 부메랑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큰 손실을 본 것은 2010년 전후로 수주 물량 확보를 위해 출혈 경쟁을 벌여 저가수주를 한 탓이다.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약했던 국내 건설사들이 국내외 경쟁사들을 누르기 위해 ‘가격’으로 승부를 본 것이 결국 부메랑이 돼
돌아왔다.

정부와 해외건설협회는 건설업계의 자정노력과 저가 수주를 방지하기 위한 금융 지원 심사 강화 등 정부의 노력으로 건설사들이 저가 수주를 하는 일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밝혔지만, 실상 건설사들의 저가수주는 완전히 진화되지 않았다.

지난해 국내대형사 한 곳은 해외플랜트 공사 입찰에서 국내외 타 업체보다 최대 20% 싼 금액을 제시해 저가 수주 의혹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2위와의 격차만 해도 11%다.

또 현대중공업 역시 2014년 수주한 나스르 프로젝트가 기대와 달리 대규모 손실을 내는 등 실적부진의원인으로 작용했다. 발주처의 잦은 설계변경 등으로 2015년 3~4분기 해당 프로젝트로 인해 현대중공업은 4600억원의 손실을 떠안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올해 건설사들의 ‘저가 수주’가 다시 재현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설사들이 경제제재 해제 후 사회 인프라시설과 플랜트 사업 발주에 나선 이란과 트럼프 대통령의 뉴딜정책으로 인해 SOC발주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미국 시장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 상황인데 타국 글로벌건설사들 역시 해당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 현지 경쟁력이 부족한 국내건설사들이 또 ‘덤핑수주’에 나설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기술 확보 없인 미래 없어=전문가들은 국내 건설사들이 저가수주 문제에서 완전히 탈피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향상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EPC 중심의 단순도급사업에서 벗어나야 마진을 높일 수 있고, 공기 지연 등에 따른 손실 등도 막을 수 있어서다.

현재보다 국내 기업간의 컨소시엄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도 기술력 향상이 선행돼야 하는 이유로 꼽혔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최근 들어 다시 국내업체끼리 경쟁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하는 사례는 늘어났으나, 일본이나 유럽업체들과의 컨소시엄이 많아진 것이지 국내업체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하지는 않는다”며 “기술력이나 경쟁력이 없어서다. 기술력을 키워 국내 중소·전문·대형사가 각종 컨소시엄을 맺어 수주에 나선다면 위험부담도 나눌 수 있고, 경쟁도 줄일 수 있어 저가수주를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가 수주를 막기 위한 정부 대책도 더 세분화하고 자세히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건협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별다른 ‘저가수주 방지대책’은 없다. 앞서 정책금융기관들이 내놓은 ‘사업수익성 평가 의무화 제도’ 정도가 방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수익성 평가제도는 계약금액 5억달러 이상인 경쟁입찰사업이나 3억달러에서 5억달러 사이의 공사 중에 국내 기업이 3개사 이상 참여한 경쟁 입찰 사업에 대해 사전에 수익성 평가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는 제도다.

하지만 중동 발주량 감소로 인해 해외시장이 열악해 지면서 ‘수익성평가제도’는 유명무실해졌다. 2013년 이후 수주협의회가 열린적은 단한 건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도가 도입될 당시에도 연간 이뤄지는 실제평가는 2~3건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었다. 환경에 맞게 사업성평가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