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30일 토요일

  • 서울 4℃

  • 인천 3℃

  • 백령 6℃

  • 춘천 5℃

  • 강릉 7℃

  • 청주 6℃

  • 수원 3℃

  • 안동 7℃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6℃

  • 전주 6℃

  • 광주 5℃

  • 목포 7℃

  • 여수 11℃

  • 대구 11℃

  • 울산 12℃

  • 창원 12℃

  • 부산 12℃

  • 제주 10℃

핀테크 혁신을 위한 선결 과제

[기고]핀테크 혁신을 위한 선결 과제

등록 2016.11.15 18:09

금아라

  기자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사진=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사진=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4차 산업혁명을 이끌 기대주로 ICT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등 ICT 기술은 제조업 혁신 뿐 아니라 금융·의료·교육 등 서비스업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한국은 제조업 대비 금융 경쟁력이 다소 뒤쳐진 가운데, ICT 기술과 금융의 융합 모델인 핀테크 혁신을 통해 금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꿈꾸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핀테크 산업이 금융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은 자산관리, 리서치 분석, P2P 대출, 개인신용평가 등 금융업 전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분산원장으로 불리는 블록체인 기술은 송금 및 지급결제, 장외거래, 전자투표, 전자등기, 경매, 사물인터넷(IOT) 기반 전자상거래 등 기존 중앙관리형 거래원장을 대체하고 있다.

실제 골드만삭스는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나서면서 IT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했다. JP 모건, Citigroup, BOA 등 글로벌 IB 들도 수익 다변화를 위해 핀테크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IT 기업으로 출발한 Apple, IBM, 그리고 중국의 알리바바와 텐센트 역시 핀테크 혁신을 통해 금융산업의 창조적 파괴를 선도하고 있다.

한국도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선진국과 비교하면 핀테크 혁신의 속도는 다소 뒤쳐진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 핀테크 혁신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은 무엇일까?

첫째, IT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금융업에서 바라보는 핀테크는 금융이 ‘주’이고 IT 기술은 ‘부’이다. IT 기술은 비용 절감을 위한 수단이지 금융업의 창조적 파괴를 이끌 비전이나 목적으로 보지 않는다. 금융회사의 IT 개발자는 여전히 IT 지원 부서에 속한 을(乙)이다. 금융회사가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핀테크 스타트업의 개발자는 을(乙)이 아닌 병(丙)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골드만삭스처럼 자산운용, 상품기획, 리스크관리, 리서치분석 등 모든 부서에서 IT 개발자가 갑(甲)이 될 수 있는 경쟁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핀테크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해야 한다. ICT 기반의 서비스업은 사용자가 제한되면 성공하기 어렵다.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가들은 핀테크 서비스의 잠재 수요자가 많을뿐더러 핀테크 관련 규제 장벽도 낮다. 한국 핀테크 기업들은 우수한 금융 인력과 IT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아시아 신흥국에서 초기 정착만 잘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 정부기관 및 해당 국가에 진출한 은행, 증권회사 등이 핀테크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한국 핀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와줄 필요가 있다.

셋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그간 금융당국의 노력에 힘입어 핀테크 분야에서 많은 규제 완화가 이루어졌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규제 완화 목소리가 높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상화폐에 대한 화폐 인정과 함께 지급결제 시스템의 참여자 확대가 필요하다. 클라우드(Cloud) 서비스, 사물인테넷(IOT) 통신 등 다양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법이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되어야 한다. 초기 핀테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규제 프리존을 확대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혁신을 위해서는 창조적 파괴가 수반되어야 한다. 핀테크 혁신도 창조적 파괴에서 예외일 수 없다. 금융회사, 핀테크 기업, 정부 모두 기존 업무범위와 규제의 틀에서 과감히 벗어나 창조적 파괴를 선보일 때이다.


뉴스웨이 금아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