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성과의 칼' 롯데 심장 겨누다···신동빈 회장 쇄신 의지 투영
롯데그룹이 2026년도 정기 임원인사에서 20개 계열사 CEO를 교체하고, 부회장단 전원이 물러나는 등 대규모 세대교체와 조직 혁신을 단행했다. 박두환 롯데지주 HR혁신실장이 인사 전략과 실행을 주도해 사장으로 승진했다. 성과 중심 인사와 젊은 리더 발탁, 외부 인재 영입이 이번 인사의 핵심이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채널
'성과의 칼' 롯데 심장 겨누다···신동빈 회장 쇄신 의지 투영
롯데그룹이 2026년도 정기 임원인사에서 20개 계열사 CEO를 교체하고, 부회장단 전원이 물러나는 등 대규모 세대교체와 조직 혁신을 단행했다. 박두환 롯데지주 HR혁신실장이 인사 전략과 실행을 주도해 사장으로 승진했다. 성과 중심 인사와 젊은 리더 발탁, 외부 인재 영입이 이번 인사의 핵심이다.
블록체인
오경석 대표, 업비트 540억원 해킹 사고에 "전액 업비트 자산으로 충당"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540억원 규모의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는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 전액 업비트의 자산으로 충당한다는 입장이다. 27일 오경석 대표는 "오전 4시42분께 약 540억원 상당의 솔라나 네트워크 계열 디지털 자산에서 비정상적인 출금 행위가 탐지됐다"며 "즉시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하고 전면적인 점검 절차를 진행했다"고 공지했다. 이어 "비정상적인 출금으로 발생한 디지털 자산 유출 규모는
블록체인
업비트서 540억원 규모 가상자산 해킹 발생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약 540억원 규모의 코인이 해킹으로 탈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피해 자산에는 솔라나 등 24종이 포함되며, 업비트는 KISA와 금융당국에 즉시 신고했다. 업비트 해킹 피해는 지난 2019년 이후 6년 만이며, 준비금 471억원으로 사고에 대비 중이다.
통신
LGU+, 임원인사 단행···'AI·통신' 투트랙 새판짰다(종합)
LG유플러스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AI 사업 중심으로 대규모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권용현 부사장 등 통신, IT, 플랫폼, 재무, 인사 분야 전문가를 전진 배치해 AI 경쟁력 강화와 조직의 디지털 전환 촉진에 나섰다.
전기·전자
엔비디아 아성 넘보는 구글 TPU···SK하이닉스·삼성 '미소'
인공지능(AI) 칩 황태자로 군림하던 엔비디아의 독주 체제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구글이 자체 개발 AI 칩 텐서처리장치(TPU)를 내부에서만 소화해오다가 시장에 풀 조짐을 보이면서다. 엔비디아의 강력한 대항마가 탄생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구글의 AI 칩 시장 진입은 엔비디아 등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팔았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H
에너지·화학
'신재생에너지협회' 수장된 박종환 대표···HD현대, 친환경 리더 발돋움
박종환 HD현대에너지솔루션 대표가 신재생에너지협회장에 취임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협력해 업계 혁신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 교류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높은 성장세와 함께 국내외 사업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한 컷
[한 컷]이창용 한은 총재, 금통위 '3대3' 기준금리 동결···'인하·동결 가능성 모두 열어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한 컷
[한 컷]이창용 한은 총재, 기준금리 동결···"고환율에 물가 높아질 우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2.50%로 4연속 동결했다.
금융일반
금감원, 렌탈채권 관리감독 TF 추진···추심 실태 파악 나선다
금융감독원이 불법사금융과 상거래채권 불법추심 근절을 목표로 렌탈채권 관리감독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한다. 연체채권, 비금융권역 규제 사각지대 점검과 불법사금융 대응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으며, 피해자 보호를 위한 사전예방과 제도 정비도 추진한다.
부동산일반
중개사협회 법정단체 목하···'반쪽짜리 복권' 논란도
공인중개사협회의 법정단체화가 국회 최종 통과를 앞두고 27년 만에 숙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단, 의무가입과 단속권이 제외되면서 시장 자정 능력 강화라는 본래 취지가 약화됐다는 비판과 프롭테크 업계의 반발이 이어진다. 소비자 보호 장치는 강화됐으나 실효성 논란도 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