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웨이TV]LGU+, 알뜰폰 브랜드 '+알파'로 중소사업자 상생·MZ 마케팅 강화](http://nimage.newsway.kr/photo/2022/06/21/20220621000148_0240.jpg)
[뉴스웨이TV]LGU+, 알뜰폰 브랜드 '+알파'로 중소사업자 상생·MZ 마케팅 강화
LG유플러스가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 상생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브랜드 '+알파'를 론칭했다.
LG유플러스가 중소 알뜰폰 사업자와 상생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브랜드 '+알파'를 론칭했다.
이동통신3사가 NFT(대체불가능한토큰)를 활용한 사업 확장에 나선다. 그간 NFT는 금전적 가치가 중요시돼 왔지만, 최근에는 NFT의 특성을 활용해 마케팅이나 커뮤니티 형성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통3사는 향후 NFT를 메타버스 생태계에 접목시키겠다는 의도도 내비치고 있다. 2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최근 NFT 사업 계획을 구체화하고 관련 생태계 마련을 논의하고 있다. NF
작년 8월 신규 출범한 현대중공업그룹 건설기계부문 중간지주사인 현대제뉴인이 소통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회사 주관이 아닌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25일 현대제뉴인에 따르면 최근 최고경영자(CEO)서부터 신입사원까지 참여, 각 직급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우사초'(우리 사장님을 초대합니다)와 '우신소'(우리팀 신입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은 올해 1분기 이용자 중 MZ세대(2030세대)와 여성 투자자 비중이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빗썸을 이용한 MZ세대 투자자 비중은 6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44.8%를 차지했으며, 그다음 △40대 21.3% △20대 17.6% △50대 12.6% △60대 이상 3.7% 순이었다. 전년도 대비 투자 비중이 늘어난 연령대는 20대(+1.5%p), 30대(+11.9%p)로 MZ세대 비중이 13.4%p 늘어났다. 여성 투자자 비중도
보험사들의 미니보험 출시 경쟁이 시작됐다. 미니보험 시장 확대 움직임은 이미 수년 동안 감지됐지만 빅테크 보험사인 카카오손해보험 출범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업계는 더욱 분주해지는 모양새다. 여기에 최근 종합금융플랫폼 등 디지털 바람에 소비 트랜드가 변하면서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 상품의 필요성도 커졌다. 현재 미니보험은 기존 보험사들의 진입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시장을 중심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자사 금융플랫폼 볼
전남 완도군이 지난 22일 조직 문화 개선과 군정 혁신을 위해 MZ세대 직원으로 구성된 '혁신 주니어보드' 워크숍을 개최했다. 혁신 주니어보드는 혁신 모임으로 젊은 직원들의 참여와 수평적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군정 발전의 새로운 토대를 다지는 회의체이다. 구성은 1980년대~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엄(M) 세대와 90년대 중반 이후 출생한 Z세대를 총칭하는 MZ세대인 직원 총 28명으로 구성됐다. 완도군 전체 정원 738명 중 MZ세대가 320명(4
"짧지만 알차다." LG전자가 운영하는 '씽큐(ThinQ) 방탈출 카페'는 제한시간이 20분으로 촉박했으나 LG전자의 다양한 제품과 LG 씽큐 앱의 주요 기능을 경험해보기엔 충분한 시간이었다. 지난 18일 한 주의 첫 시작인 월요일임에도 불구하고 서울 성수동 카페거리에는 젊은이들로 북적였다. LG전자의 씽큐 방탈출 카페가 차려진 '카페 할아버지 공장' 2층은 북적이는 1층 카페와 달리 예약 방식을 통해 운영돼 대기실에서 잠깐의 대기 후 바로 입장
코로나19로 오프라인 행사를 자제했던 기업들이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맞춰 현장 마케팅에 시동을 걸고 있다. 특히 과거 행사가 단순 제품 출시 후 홍보에 무게가 쏠렸다면 최근에는 MZ세대(1980~2004년 출생자)의 취향을 반영해 마케팅 방식도 변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MZ가 경험을 중시한다'는 점을 고려해 방탈출 카페, 오락실, 놀이동산을 홍보공간으로 채택했다. ◇LG전자, 씽큐 이용한 방탈출에 최고 사양 TV 장착한 오락
삼성화재가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MZ(밀레니엄+Z세대)세대 고객패널 제도를 도입했다. 보험에 대한 관심이 낮은 청년층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서다. 삼성화재는 지난 5일 오후 서울 서초동 본사에서 'MZ 고객패널' 발대식을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삼성화재 MZ 고객패널은 자사 장기보험에 가입한 20세부터 30세 초반 고객으로 구성했다. 패널들은 3개월간 다양한 보험상품을 체험한다. 아울러 '보험에 대한 MZ세대의 인식'에 대해서도 조사해
40만명 응모자가 몰린 톰브라운 에디션, 15분만에 완판된 우영미 에디션, K팝의 인기를 증명한 BTS 에디션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컬래버레이션 완판 역사를 쓴 제품이다. 스마트폰 업계의 컬래버 역사는 상당히 오래됐으나 여전히 '잘 통하는' 마케팅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명품부터 2030세대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브랜드와 다양하게 컬래버 제품을 쏟아내며 MZ세대(1980~2004년)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폴더블폰이란 폼팩트 변화에
MZ세대(1980년~95년생)가 소비 등 경제활동의 주력으로 부상했지만 이전 세대 대비 취약한 경제 상황이 향후 경제에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MZ세대의 근로소득은 2000년 동일 연령대의 근로소득과 비교해 1.4배 높아졌으나 총부채가 4.3배 수준으로 크게 늘고, 소비는 오히려 낮아졌다. 한국은행은이 15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 'MZ세대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를 보면 MZ세대는 소득, 자산, 부채, 소비 등
2020년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 '로드앤테일러'가 영업을 중단하고 파산보호신청을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소비는 움츠러들었고 대면 쇼핑 기피 현상이 확산했다. 그 사이 이커머스 시대가 도래했고, 그렇게 백화점 시대가 저물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반면 국내 백화점들은 반전을 이루는데 성공했다. 매출 상승세를 유지하며 코로나19 이전보다 오히려 더 나은 실적을 거뒀다. 배경엔 명품과 골프가 있
2022년 트랜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환경 문제 해결을 뜻하는 '그린'(Green)이다. MZ세대는 이미 친환경적인 상품을 소비하는 것을 '세련됨'이라고 생각한다. 패션계를 예로들면 과거 화려함과 부의 상징이었던 모피는 이젠 구식으로 치부되고, 페이크퍼(fake-fur)가 더 각광 받는 시대다. 불현듯 MZ세대 소비자들은 보험사들이 이런 세련됨에 얼마나 가깝다고 생각할지 궁금했다. 멀리 갈 것 없이 주변 2030세대에 '친환경 하면 떠오르는 보
카드업계가 올해 소비와 재태크 트렌드를 제시하고 나섰다. 소비 부문에서는 코로나19 속에서 억눌려 왔던 일상 회복 욕구가 반영됨과 동시에 과거보다 개개인의 취향을 담은 소비 패턴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일상 속에서 흔히 쓰는 제품을 프리미엄급으로 소비하고, 주목 받지 못한 지역들이 고유한 매력을 어필해 성장하는 등 일상에서 예전에 발견하지 못했던 것의 가치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재태크 부문에서는 또한 마이데이터 시
더불어민주당이 MZ세대에게 친숙한 NFT(대체불가토큰), 가상자산 등 4차산업을 띄우며 2030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이재명 대선후보측은 물론 소속 의원들까지 나서 NFT 등을 매개로 MZ세대에 대한 구애를 강화하고 있다. 민주당 선대위는 2일 이 후보의 선거자금 펀딩 참여자들에게 NFT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펀딩은 기부와 달리 돈을 빌려주고 돌려받는 채권 약정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약정서를 NFT로 제공한다는 게 선대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