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1일 화요일

  • 서울 30℃

  • 인천 31℃

  • 백령 23℃

  • 춘천 31℃

  • 강릉 32℃

  • 청주 31℃

  • 수원 30℃

  • 안동 32℃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1℃

  • 전주 31℃

  • 광주 30℃

  • 목포 31℃

  • 여수 30℃

  • 대구 34℃

  • 울산 33℃

  • 창원 33℃

  • 부산 32℃

  • 제주 29℃

전국 주택 매맷값 넉 달 만에 내림세

전국 주택 매맷값 넉 달 만에 내림세

등록 2013.07.31 16:46

수정 2013.07.31 17:14

성동규

  기자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유

전국 주택 매맷값이 넉 달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한국감정원은 7월 전국 주택 매맷값이 전달보다 0.07% 하락했다고 31일 밝혔다.

4·1대책의 영향으로 4∼6월 상승세를 보이던 매맷값은 6월 말 취득세 감면 종료와 여름철 비수기 등으로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하락세로 전환했다.

수도권 주택값은 0.30% 내렸지만 오히려 지방은 0.14% 올랐다.

서울(-0.43%), 경기(-0.24%), 전남(-0.23%), 대전(-0.20%), 전북(-0.13%), 인천(-0.10%) 등은 하락했고 대구(1.16%), 경북(0.68%), 충남(0.11%) 등에선 상승했다.

수도권은 2개월 연속 하락세다. 서울 양천구(-0.83%), 서초구(-0.78%), 송파구(-0.77%), 중구(-0.51%), 도봉구(-0.49%) 등이 낙폭을 주도했다.

전국 주택 평균 매맷값은 2억2957만원으로 전달보다 내렸다. 지역별로는 서울 4억4712만원, 수도권 3억1805만원, 지방 1억4710만원을 기록했다.

7월 전셋값은 매물 부족과 수요 증가로 전달보다 0.30% 상승했다. 수도권은 0.39%, 지방은 0.22% 올랐다.

대구(1.22%), 경북(0.64%), 세종(0.60%), 서울(0.53%), 인천(0.43%), 대전(0.34%), 경기(0.27%) 등의 순으로 상승했다. 전남(-0.18%)과 부산(-0.06%)은 하락했다.

서울에선 광진구(1.40%), 영등포구(1.28%), 송파구(1.18%), 중랑구(1.20%), 서초구(0.84%) 등이 상승폭이 컸다.

전국 평균 전셋값은 1억3218만원으로 전달보다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 2억3892만원, 수도권 1억7498만원, 지방 9229만원이다.

이에 따라 전국 주택 매맷값 대비 전셋값 비율은 60.6%로 전달보다 0.3%로 높아졌다. 수도권이 58.9%, 지방이 62.1%로 각각 나타났다.

박기정 감정원 연구위원은 “매매시장은 수요자들의 관망세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구매 시기를 늦추는 세입자가 늘어 전세난은 더욱 심화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