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선포···“종합금융그룹 경쟁력 확보”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선포···“종합금융그룹 경쟁력 확보”

등록 2018.05.20 13:31

신수정

  기자

공유

이사회·주주·금융당국 등 이해관계자와 협의 거쳐 추진금융당국, ‘선 지주사, 후 잔여지분 매각’ 결정에 속도전

우리은행.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우리은행.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우리은행이 지주사 전환을 공식 선포했다. 금융당국이 우리은행의 예금보호공사 잔여지분 매각 시기를 지주사 전환 이후로 잠정결정 내리면서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20일 우리은행은 향후 이사회, 금융당국,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등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지주회사 전환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이 이번에 다시 지주사로 전환을 꾀하려 하는 것은 은행 체제로서는 성장의 한계가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그 동안 시중은행 중 유일한 비금융지주체제로서 비은행 및 글로벌 확대 제약 등 시장경쟁에 불리한 측면이 있어 지주체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은행은 은행법상 자기자본의 20%를 넘겨 출자할 수 없어 여러 자회사를 거느리기 힘들다. 지주사 체제인 다른 금융그룹이 은행과 증권, 보험, 카드, 캐피탈, 자산운용 등 다양한 업권의 자회사를 소유하며 협업을 이룬는 것과는 대비되는 상황이다. 특히 은행과 자회사 간에는 고객 정보를 공유할 수 없지만, 지주회사 체제 내에선 계열사끼리 정보공유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에 우리은행은 내부검토 결과 지주체제 전환시 출자한도 증가로 비은행 사업포트폴리오의 확대가 가능해지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One-stop 종합자산관리서비스 제공, 통합 고객관리, 계열사 연계서비스 및 다양한 복합 비즈니스가 가능해지면서 고객서비스 수준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지주체제 전환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금융당국과 교감을 나누게 된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지주사 전환을 위한 예비인가 신청을 할 전망이다. 예비인가를 신청하면 공정거래위원회 심의와 본인가, 주주총회, 상장 등 절차가 뒤따르게 된다.

우리은행은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하기 위한 요건을 대부분 갖춘 상태다. 금융지주회사법상 금융지주회사의 요건은 ▲1 이상의 금융기관을 지배할 것 ▲자산총액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 이상일 것(5000억원 이상)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을 것 등이다.

우리은행은 우리카드, 우리종합금융, 우리FIS, 우리신용정보, 우리펀드서비스, 우리PE자산운용을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우리은행의 자본총계(연결 기준)는 20조3420억원이다.

금융위의 인가 기준 역시 충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지주회사법상 금융지주회사 인가 기준은 ▲주식회사로서 사업계획이 타당하고 건전할 것 ▲대주주가 충분한 출자능력, 건전한 재무상태 및 사회적 신용을 갖추고 있을 것 ▲금융지주회사와 자회사 등이 되는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관리상태가 건전할 것 등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주체제 전환시 증권, 자산운용, 부동산신탁 등 수익성 높은 다양한 업종에 진출해 자본효율성 제고 및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며 “향후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서는 이사회 승인, 금융당국의 인가 및 주주총회 승인 등 절차가 남아 있으나 종합금융그룹 경쟁력을 조속히 확보하기 위해 내년초 출범을 목표로 지주회사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신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