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8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재훈 사장 “원전수출, 한수원이 주도하겠다”

정재훈 사장 “원전수출, 한수원이 주도하겠다”

등록 2018.06.08 15:30

수정 2018.06.08 18:08

주현철

  기자

공유

한전은 플렛폼···독자 수출 한수원에체코·슬로바키아·필리핀 등 수출 추진본격적인 종합 에너지기업 도약 선언

정재훈 사장 “원전수출, 한수원이 주도하겠다” 기사의 사진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향후 원전수출을 한수원이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한수원의 가장 큰 먹거리인 원전 수출 사업을 그동안 한전과 함께했으나 하도급 같은 분위기에서는 탈피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한수원은 한전이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는 자회사다.

정 사장은 지난 7일 울산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을 만나 “사우디아라비아 원전수출까지는 ‘팀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움직이기로 하고 대외창구를 한전으로 했지만, 앞으로 한수원이 주도하도록 하겠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수출 역량은 원래 한수원에 있는 거고, 한전을 창문으로 쓸 것이냐는 판단하면 되는 것”이라며 “한전이 위에 있고 우리가 하도급 같은 그런 분위기는 싫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 사장은 탈원전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춰 한수원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종합 에너지기업으로 나가야 생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수원이 과거에는 원전 운영으로 돈 놓고 돈 먹기 하는 회사였지만, 외부에서 준 충격(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강제 튜닝(조정)을 당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 사장은 취임식에서도 “원전 컨설팅 등 소프트웨어로 돈 버는 종합에너지기업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 사장은 신재생에너지, 원전수출, 원전 해체 역량 확보, 제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새로운 사업기회 등을 경영방침으로 제시했다.

정 사장은 “이제는 (원전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바다로 가서 먹거리를 골라먹을 기회가 왔다”며 “세계에서 제일 큰 원전 회사 이디에프(EDF·프랑스전력공사)는 원전 사업 비중이 54%고 미국 원전 운영사 엑셀론은 66%”라고 밝혔다.

정 사장은 “한수원도 앞으로는 미국처럼 지난 세월 쌓은 원전 운영 노하우란 ‘소프트웨어’ 자산을 바탕으로 외국에서 에너지 컨설팅을 해서 돈 버는 회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출 역량을 집중할 전략시장으로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필리핀을 꼽고서 “찬밥, 더운밥 가리지 않고 다 두드려서(tapping) 먹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원에 따르면 체코전력공사는 두코바니와 테멜린에 부지별로 1000MW(메가와트) 이상급의 원전 1~2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입찰제안요청서를 발급하고 내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한수원, 중국광핵집단(CGN), 러시아 로사톰, 프랑스 EDF, 프랑스·일본 컨소시엄 ATMEA, 미국 웨스팅하우스 등 6개사가 2016년 예비입찰문서를 제출했으며 체코는 예비입찰문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투자모델을 수립 중이다.

한수원은 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 심사 6단계 중 4단계를 통과해 오는 9월 인증 획득을 기대하고 있다. 정 사장은 “우리 원전산업이 당장 다리가 끊겼다고 강을 못 건너는 것은 아니다”며 “배로 건너고 그것도 안 되면 무등(목말) 타고 건너서 생명력만 유지하면 앞으로 충분히 보완할 길이 얼마든지 있다”고 주장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