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날은 1900년 10월25일 고종이 대한제국칙령 제41호에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명시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2000년에 민간단체인 독도수호대가 독도의 날을 지정하고 2005년부터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해 서명운동 실시해 3년 만에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2008년 8월27일 독도의날 제정을 위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 됐고 2010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16개 시도교총, 우리역사교육연구회, 한국청소년연맹, 독도학회와 공동 주체로 경술국치 100주년을 맞아 전국 단위 독도의날을 선포했다.
이처럼 독도의 날은 일본의 영유권 야욕으로부터독도 수호 의지를 표명하고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널리 알리는 강력한 독소수호 의지를 세계 가굮에 드러내기 위해 제정된 날이다.
독도는 과거 독섬이고도 불렸다. 면적은 18만 7,554㎡이다.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동도·서도 및 그 주변에 흩어져 있는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
삼국사기에는 512년(신라 지증왕 13) 하슬라주의 군주 이사부가 울릉도를 중심으로 한 해상왕국 우산국을 정벌하면서 독도가 우산도로, 1471년 삼봉도와 1794년 가지도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울릉도를 울도군이라 칭하고 울릉전도와 죽도·석도를 관할하도록 정했는데, 석도는 '돌로 된 섬'이라는 뜻의 '돌섬'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전라도 방언에서는 '돌'을 '독'이라고 해 전라도 남해안 출신의 울릉도 초기 이주민들은 '돌섬'을 '독섬'이라 불렀다. '독섬'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독도(獨島)'가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뉴스웨이 안민 기자
petera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