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KCC, 3형제 교통정리···3세 승계 밑그림 속도

KCC, 3형제 교통정리···3세 승계 밑그림 속도

등록 2020.05.07 09:02

천진영

  기자

공유

정몽진 회장, 조카 한선군에 KCC글라스 지분 2.03% 증여부친 실권 쥘 계열사 지분 확대···17년 KAC 주주명부도 올라 인적분할 이후 계열 분리 작업 본격화···독립 경영 속도 낼 듯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올해 초 인적분할을 마친 KCC그룹이 삼형제간 교통정리에 속도를 낸다. 창업주 정상영 명예회장의 장남인 정몽진 KCC 회장은 최근 정몽익 KCC 수석부회장의 아들인 한선군에 KCC글라스 보유 지분 일부를 증여했다. KCC글라스는 향후 정 부회장이 진두지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계열분리 작업에 본격 나섰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코로나19 여파로 KCC글라스 주가가 급락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는 계열분리의 첫 과정으로 오너일가의 주식스왑(지분교환) 가능성을 높게 점쳤지만, 이번 지분 증여로 3세 후계구도 밑그림을 그렸다는 해석도 나온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정몽진 KCC 회장은 보유하고 있던 KCC글라스 지분 2.03%(17만68주)를 조카 한선군에 증여했다. 주당 처분 단가는 2만9400원으로 약 50억원어치다.

이로써 정 회장의 KCC글라스 지분율은 종전 18.40%(153만6708주)에서 16.37%(136만6640주)로 줄었다. 반면 한선군의 지분율은 0.02%(2056주)에서 2.06%(17만2124주)로 높아졌다.

정몽익 KCC 수석부회장의 차남 한선군은 2007년생으로 올해 만 13세다. 한선군은 이번 증여를 통해 3세들 중 KCC글라스 지분을 가장 많이 확보하게 됐다. KCC의 인적분할 신설법인 KCC글라스는 향후 정 부회장이 지배할 가능성이 높은 계열사로 거론된다. 인적분할 이벤트 이후 처음으로 부친이 실권을 쥐게 될 계열사 지분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3세 후계구도 밑그림을 그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코리아오토글라스(KAC) 주주명부에 일찌감치 한선군의 이름을 올린 것도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2017년 8월 정상영 명예회장은 보유 중인 KAC 지분 0.25%(5만주)를 한선군에 증여했다. 당시 시세로 따지면 10억2000만원어치다. 2015년 12월 KAC 상장 이후 KCC그룹 삼형제간 후계구도가 명확해지자 정 명예회장이 지분 증여를 통해 손자 한선군에 힘을 실어줬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당해 12월 정 명예회장은 KCC 지분 0.02%(2600주)도 한선군에 넘겼다.

인적분할 이후 코로나19 악재가 겹치면서 KCC글라스 주가가 급락한 점도 지분 증여를 부추긴 요인으로 해석된다. 이날 KCC글라스는 시초가(7만9600원)보다 60.9% 떨어진 3만11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KCC는 작년 7월 KCC와 KCC글라스로 인적분할을 결정했다. KCC는 건자재와 도료, 실리콘 등을 포함한 소재 및 기타사업을 맡고, KCC글라스는 유리와 PVC 상재(바닥재), 홈씨씨 사업과 함께 관계기업인 KAC가 편입됐다.

증권가는 이번 인적분할이 정 회장과 정 부회장간의 계열분리 신호탄으로 해석했다. 첫 시나리오는 정 부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KCC 지분과 정 회장과 삼남 정몽열 KCC건설 사장이 보유한 KCC글라스 지분을 서로 맞바꾸는 것이다. 이후 정 부회장이 KCC글라스 최대주주에 올라서고, KCC글라스와 KAC의 합병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했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형제간 보유 지분은 전량 스왑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몽진 회장은 KCC에 대한 의결권을 최대한 확보(30% 이상)할 필요가 있으며 자금 조달을 위해 KCC글라스 지분을 전량 처분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형제간 지분 스왑 과정에서 대규모 현금 지출이 수반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적분할 이후 배당을 확대해 정 회장의 자금 부담을 덜어줄 가능성도 제기됐다. 그러나 작년 대내외적 영업 환경 악화로 인한 실적 부진에 시달리면서 KCC는 배당 규모를 축소했으며, 올해 초 코로나19 악재가 겹치면서 주가도 내리막 길을 걸었다. 이날 KCC 주가는 시초가(20만500원) 대비 21.4% 내린 15만7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뉴스웨이 천진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