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에 집중되는 ‘소득분포의 불평등’에 관한 이 법칙은 매출, 소비,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됩니다.
그렇다면 국내 기업들의 매출과 고용에도 적용이 될까요?
11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 CXO연구소에서 지난해 자산 5조원 이상인 국내 64개 대기업 집단 계열사 총 2,284곳의 매출과 고용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64개 대기업 집단의 총 매출은 1,617조원. 우리나라의 명목 GDP 1,919조원의 84.3%에 달하는 금액이었습니다.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곳은 삼성으로 64개 대기업 집단의 매출 중 19.4%(314조원)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현대차그룹 11.5%(185조원), SK그룹 10%(161조원) 등이 뒤를 따랐습니다.
이렇게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고용 영향력은 매우 낮았는데요. 국내 전체 고용 인원은 1,386만명이었는데 반해 64개 대기업 집단의 직원은 158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전체 고용 인원의 약 11%만이 대기업 집단에 소속된 것. CXO연구소는 “국내 대기업 집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드러내는 수치”라고 분석했습니다.
소수의 대기업 집단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만들어내는 상황. 이는 곧 11%의 고용 인원이 국내 명목 GDP의 80% 이상을 창출하고 있다고도 풀이되는데요.
19세기 경제학자가 발견한 법칙, 21세기에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져 있었습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석희 기자
seo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