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3℃

  • 인천 2℃

  • 백령 7℃

  • 춘천 2℃

  • 강릉 5℃

  • 청주 2℃

  • 수원 4℃

  • 안동 2℃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2℃

  • 전주 2℃

  • 광주 3℃

  • 목포 6℃

  • 여수 8℃

  • 대구 4℃

  • 울산 9℃

  • 창원 7℃

  • 부산 9℃

  • 제주 11℃

高大, 디지털 헬스케어 R&D 중추기관으로 선정 外

[고대의료원] 高大, 디지털 헬스케어 R&D 중추기관으로 선정 外

등록 2020.07.30 17:18

안성렬

  기자

공유

과기부 지정 ‘서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 기술핵심기관으로 낙점 받아

고려대의료원 최첨단융복합의학센터고려대의료원 최첨단융복합의학센터

‘넥스트 메디슨(Next Medicine)’ 실현을 위한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의 행보에 더욱 추진력이 가해질 전망이다.

고려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지정한 ‘서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홍릉 특구)’의 기술핵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과학기술 사업화 및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과기부에서 집중 지원하는 지역 혁신성장플랫폼이다. 지정된 특구에는 정부 R&D 예산지원 뿐만 아니라 규제특례, 국세·지방세 감면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이에 서울시는 홍릉 특구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 내 뛰어난 혁신기술 역량을 보유한 고려대와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경희대를 ‘기술핵심기관’으로 선정했다. 해당기관들은 특구에 입주하는 기업들과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협업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에 나서게 된다.

국내 최초의 연구단지인 홍릉 일대는 KIST, KAIST 서울캠퍼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뿐만 아니라 고려대, 경희대, 서울시립대 등 국내 최고의 연구·교육 기관들이 결집해 있다. 이에 일찌감치 서울시에서는 홍릉을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로 만들겠다고 공표해온바 있어, 이번 과기부의 특구지정은 클러스터 계획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홍릉 특구는 ‘GLOBE STAR(GLObal Bio-healthcare Ecosystem for Sustainable Tech-startup Acceleration and Research) 메디클러스터’로 육성방향을 설정하고 바이오마커, 스마트 진단 의료기기, 빅데이터 플랫폼, AI기반 의료 S/W 등의 ‘디지털 헬스케어’를 특화분야로 설정했다.

이에 범(汎)고대가 보유하고 있는 의대 및 단과대, 산하병원, 기술지주회사 등이 R&D를 통해 만들어낼 시너지효과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연구중심병원(안암병원, 구로병원)’과 ‘ISO14155(국제 의료기기 임상시험 실시기관 인증)’, 임상기반 연구를 통한 기술고도화 역량 등을 보유한 고려대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의 역할에 많은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려대의료원은 이미 지난 2018년 12월 ‘미래의학 10대기술’ 개발계획과 이달 열린 ‘넥스트 노멀 컨퍼런스 2020’에서 신종감염병 연구시설이 포함된 ‘정릉 K-Bio 캠퍼스’ 구축계획을 대내외에 공표한바 있다.

또한 일찌감치 연구를 차세대 먹거리로 설정하고, 지난 수년간 연구 거버넌스 및 인프라를 꾸준히 강화해온 만큼 금번 ‘홍릉 특구’ 지정에 의료원 측이 거는 기대는 크다. 그리고 KIST 등의 주변기관과도 협조체계를 구축해 중개임상연구센터를 통한 공동연구, 월례 정기 워크숍 개최 등 2014년부터 활발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어 클러스터 체제를 통한 협업도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 내부의 시각이다.

정진택 총장은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의 기술핵심기관으로 지정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홍릉이 세계적인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로 자리매김해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프라이드가 될 수 있도록 고대가 보유한 모든 역량을 결집해 최선의 역할을 다 하겠다”며 담대한 포부를 밝혔다.

김영훈 의무부총장은 “차근차근 조직의 연구역량을 다져왔기 때문에 이번 홍릉 특구 지정은 우리가 본격적으로 도약할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넥스트 메디슨(Next Medicine)이 구현되는 최고의 테스팅 베드 구축을 통해 산·학·연이 임상 기반의 유망기술 개발·사업화를 실현하게끔 구성원 모두가 혼신의 노력을 쏟을 것”이라며 굳은 의지를 표명했다.

■ 고대 안암 김병수 교수팀,
‘세계 최초’ 다발골수종 치료를 위한 PD-L1 기반 예후예측 모델 개발

 高大, 디지털 헬스케어 R&D 중추기관으로 선정 外 기사의 사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김병수 교수팀(의과학과 김병수 교수, 혈액종양내과 이병현 교수)이 세계최초로 다발골수종 치료를 위한 PD-L1 기반 예후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PD-L1(programmed death-ligand 1)은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로서 T세포의 탈진, 사멸을 유도하고 암세포의 면역내성획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이오마커다.

특히 항PD-1 면역항암제인 pembrolizumab과 표준 치료제의 병합요법과 표준 치료제 단독요법의 효과를 비교한 3상 임상시험(KEYNOTE 183, 185)이 pembrolizumab 투약 군의 안전성 문제와 낮은 생존율로 2017년 7월에 중단된 이후, 이의 대안으로, 항PD-L1 면역항암제의 적용 가능성이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보편적인 화학항암제와는 달리, 표적 면역항암제는 면역항암제의 표적으로 적절한 암환자 군을 사전에 선별하는 과정이 면역항암치료의 성공을 보장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기 방법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PD-L1 발현을 측정할 때 고형암에서는 암 종괴의 조직 슬라이드 염색 기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은 종괴를 형성하지 않아 기존에 고형암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우며, 골수혈에 산재되어 있는 다발골수종 세포에서 PD-L1 발현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골수혈에서 다발골수종 세포의 PD-L1 발현이 아직까지 임상에 적용된 바가 없었는데, 김병수 교수팀의 이번 연구를 통해 골수 내 다발골수종 세포에서의 PD-L1의 발현 정도를 바탕으로 다발골수종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나아가 PD-L1 표적치료제의 객관적인 적응을 마련할 방향이 제시된 것이다.

연구팀은 126명의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PD-L1 발현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낮을 것으로 예측했다. PD-L1 발현이 높은 군은 낮은 군 보다 5년 생존율이 절반 이하로 낮았으며 면역조절제의 사용과는 무관했다. 또한 PD-L1 발현이 높은 군에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골수 내 형질세포의 PD-L1 발현과 여러 임상인자들을 종합하여 다발골수종 환자의 예후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병수 교수는 “이번 연구가 향후 다발골수종 환자의 예후예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뿐만 아니라 항PD-L1 면역항암제의 투여 적응증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시행하는 '신약파이프라인개발사업'의 지원['신규 면역세포치료제의 다발골수종 임상 적용 가능성 규명' (R1716124)]을 통하여 수행됐으며 연구 논문 ‘PD-L1 expression in bone marrow plasma cells as a biomarker to predict multiple myeloma prognosis: developing a nomogram-based prognostic model (다발골수종 예후예측 바이오마커로서의 골수 형질세포 PD-L1 발현: 노모그램 기반 예후예측 모델 개발)’은 네이쳐(Nature)지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8월호에 게재됐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안성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