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사조 3세 주지홍, 계열사 지분 정리···지배력 확대 수순

사조 3세 주지홍, 계열사 지분 정리···지배력 확대 수순

등록 2020.09.07 14:00

수정 2020.09.08 07:40

천진영

  기자

공유

주 부사장, 사조오양·사조동아원 지분 전량 매각 90억원 확보 핵심 계열사 사조산업 지분 확대 가능성, 증여세 납부 목적도 올 초 지배구조 일원화 작업 본격, 그룹 장악력 확대 나설 듯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사조그룹 오너 3세 주지홍 사조산업 부사장이 보유 중인 계열사 두 곳의 지분을 전량 처분했다. 사조오양과 사조동아원 지분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은 90억원어치다. 이 자금은 핵심 계열사인 사조산업 지분 확대 등 승계 재원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주 부사장은 사조그룹 지배구조 정점인 사조시스템즈 최대주주에 오르며 사실상 경영 승계를 마무리했지만, 실권은 부친 주진우 회장이 쥐고 있다. 올 초부터 주 부사장을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 일원화 작업이 본격화된 가운데 그룹 장악력 확대에 나설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일 주 부사장은 보유하고 있던 사조오양 주식 전량(48만4127주)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처분했다. 주당 매매가는 1만1050원으로 53억4960만원어치다. 주 부사장이 매도한 지분은 계열사 사조대림이 사들였다. 사조대림은 사조오양의 최대주주로, 지분율은 55.39%에서 60.53%로 5.14%포인트 상승했다.

이날 주 부사장은 같은 방식으로 보유하고 있던 사조동아원 지분 2.94%(414만793주)를 계열사 사조씨푸드에 넘겼다. 주당 처분단가는 878원으로 약 36억3561만원어치다. 사조동아원 2대주주인 사조씨푸드는 지분율을 25.33%까지 늘렸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주 부사장은 총 89억8500여만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시장에서는 주 부사장이 해당 자금을 승계를 위한 실탄으로 사용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유력한 시나리오는 핵심 계열사인 사조산업 지분 확대다. 주 부사장은 사실상 사조그룹 경영권을 장악한 2015년부터 꾸준히 사조산업 지분을 늘려왔다. 코로나19 사태로 폭락장이 연출된 지난 3월에도 6차례에 걸쳐 사조산업 주식 3만8590주를 사들였다. 매입 규모는 약 9억4395만원어치다. 이로써 주 부사장의 사조산업 지분율은 작년 말 기준 6.03%(30만1320주)에서 현재 6.80%(33만9910주)까지 끌어 올렸다.

사조산업의 최대주주는 비상장사인 사조시스템즈(26.12)다. 이어 주 회장이 지분 14.24%을 소유한 2대 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향후 주 회장이 아들 주 부사장을 대상으로 지분 증여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 경우 주 부사장은 매각 자금을 증여세 납부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사조그룹 지배구조는 ‘주 부사장→사조시스템즈→사조산업→사조대림’ 등 계열사로 이어진다. 주 부사장은 현재 사조시스템즈 지분 39.7%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사실상 경영권 승계는 마침표를 찍었지만 여전히 실권은 주 회장이 쥐고 있다.

그러나 올해 초부터 주 회장이 주 부사장을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 일원화 작업에 나서면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4월 주 회장은 보유하고 있던 사조산업(0.7%)과 사조대림(0.54%), 사조오양(2.96%) 등 지분 일부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처분했다. 주 회장이 매도한 지분은 사조동아원, 사조랜더텍, 사조대림 등 계열사가 사들였다. 당시 주 회장이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주 부사장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분법상 승계 작업을 마친 주 부사장이 그룹 경영 전반을 진두지휘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줬다는 해석이다.

뉴스웨이 천진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