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동학개미’ 삼성전자 주식, 국내 기관 물량 육박

‘동학개미’ 삼성전자 주식, 국내 기관 물량 육박

등록 2020.09.17 07:45

공유

국내 기관 최대 7.5%·개인 6.1%···격차 5.1%p→1.4%p

‘동학개미’ 삼성전자 주식, 국내 기관 물량 육박 기사의 사진

올해 들어 국내 기관투자자가 삼성전자 주식을 내다 팔면서 기관의 삼성전자 지분율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 기관의 지분율은 10%가 채 되지 않은 가운데 올해 수천만주를 매도하면서 비중이 7%대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17일 삼성전자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을 제외한 국내 기관투자자의 삼성전자 지분율은 8.7%로 집계됐다.

최대주주 등 특수관계인이 21.2%, 국민연금은 10.6%, 개인 비중은 3.6%였다. 외국인은 55.9%로, 5%를 보유한 블랙록 펀드의 경우 외국인 지분에 포함됐다.

국내 기관은 올해 들어 지난 16일까지 삼성전자 주식 총 7천300만주를 순매도했다. 삼성전자 전체 주식수(59억6천978만주)의 1.2%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관의 현재 보유 비중은 지난해 말 8.7%에서 1.2%포인트 하락한 7.5%로 추정된다.

반면 개인은 1억4천705만주를 순매수했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개인 지분율은 3.6%에서 6.1%로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을 제외하면 삼성전자 주가 흐름의 향방을 결정하는 데 개인 투자자들이 기관 못지않게 중요한 주체가 됐다는 얘기다.

다만, 작년 말 주주명부를 기준으로 파악된 외국인 지분율(55.9%)은 금융당국에서 집계하는 지분율(56.8%)과는 0.9%가량 차이가 난다.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아 금감원에 신고 후 거래가 이뤄지는데 외국인인데도 등록증 없이 증권사에서 일반 주문을 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런 경우 금감원은 사후보고를 통해 외국인이지만 외국인 신고가 안 된 경우까지 집계하지만 해당 회사는 신고된 외국인만 취합하게 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을 56.8%로 볼 경우 개인은 물론, 기관의 지분율은 더 떨어질 수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기관 중에는 삼성자산운용이 1.02%의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 중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도 0.68%, 신영자산운용과 KB자산운용은 각각 0.24% 보유하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