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4℃

  • 인천 6℃

  • 백령 7℃

  • 춘천 1℃

  • 강릉 7℃

  • 청주 6℃

  • 수원 5℃

  • 안동 6℃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6℃

  • 전주 8℃

  • 광주 7℃

  • 목포 12℃

  • 여수 11℃

  • 대구 10℃

  • 울산 8℃

  • 창원 8℃

  • 부산 9℃

  • 제주 13℃

LG 구광모, 플라스틱·폐배터리 미래사업에 추가한 배경은

LG 구광모, 플라스틱·폐배터리 미래사업에 추가한 배경은

등록 2022.06.29 11:20

김정훈

  기자

공유

LG 계열사 전략보고회 마친 뒤 클린테크 투자 전격 발표'바이오 소재·폐배터리 재활용·탄소저감' 신성장동력 낙점LG화학·엔솔, 북미 파트너와 배터리 재활용 사업 공격적 재계선 "구 회장, 탄소중립 등 글로벌 트렌드에 기여 의지"

28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주)LG 구광모 대표가 차세대 배터리 소재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LG 제공28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주)LG 구광모 대표가 차세대 배터리 소재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LG 제공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래 성장사업에 바이오 소재,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 클린테크(친환경 기술) 분야를 추가했다. 최근 한 달간 계열사별 중장기 사업전략을 점검하는 전략보고회를 마친 뒤 나온 결정이다.

SK지오센트릭, 롯데케미칼, GS칼텍스 등 국내 대기업들이 플라스틱 재활용 전략을 추진하면서 LG도 계열사 LG화학이 주축이 돼 관련 사업을 펼친다는 전략이다.

LG그룹이 29일 발표한 친환경 사업을 보면 바이오 소재, 폐배터리 및 폐플라스틱 재활용, 탄소 저감 기술 등 클린테크 분야에 5년간 국내외에서 2조원 이상 투자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구광모 회장이 대표이사로 있는 그룹 지주회사 ㈜LG는 전날 ESG위원회를 열어 이러한 사업 계획을 담은 ESG 추진 전략을 수립해 실행하기로 했다. 또 하반기 중에는 중장기 탄소 감축 전략, 해외 탄소 감축 사업 개발 등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LG 관계자는 "최근 석유화학 사업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구광모 대표와 계열사 경영진들이 친환경 클린테크 분야의 투자를 확대하고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취임 4주년을 맞은 구 회장은 그동안 배터리·전장·OLED를 신성장 3대 축으로 삼고 인공지능(AI) 및 바이오 사업에 투자를 늘리는 행보를 보여왔다.

여기에 한 발 더 나아가 친환경 기술 사업을 강화하기로 한 것은 글로벌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사업 재편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는 것에 구 회장과 LG 경영진도 공감한 대목이다.

큰 틀에서 구 회장은 바이오 소재, 폐배터리 재활용, 탄소 저감 기술 3개 부문에서 투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계열사 중에선 LG화학이 구심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우선 바이오 소재 분야에서 LG화학은 바이오 소재를 활용해 친환경 플라스틱을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미국 곡물기업인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와 합작법인을 세우고 2025년까지 미국에 7만5천톤 규모의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공장 건설에 들어갔다.

또 LG화학은 2024년 2분기 완공을 목표로 충남 대산공장에 바이오 원료 생산시설과 생분해성 플라스틱(PBAT) 생산시설을 짓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는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이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북미 최대 규모의 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라이사이클(Li-Cycle)'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LG 측은 지난 4월 라이사이클과 전기차 30만대(배터리 용량 80kWh)를 생산할 수 있는 황산니켈 2만톤을 내년부터 10년간 공급받는 계약을 맺었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600억원을 투자해 이 회사 지분 2.6%를 확보했다.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은 라이사이클을 통해 친환경으로 생산된 배터리 원재료를 공급받게 됨에 따라 북미와 유럽연합(EU) 등 강화되고 있는 환경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이와 별도로 국내에서 황산니켈을 생산하는 켐코와 전구체를 생산하는 합작법인을 세운 것도 폐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금속을 전구체 사업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LG화학은 투명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 개발에도 착수했다. 급증하는 고객사들의 친환경 소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탄소 저감 기술 분야에선 LG화학이 지난 20일 대산공장의 나프타분해센터(NCC) 공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이용해 연 5만톤 규모의 수소 연료를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재계에서는 LG가 이미 석유화학 및 전기차용 배터리 부문에서 글로벌 수준의 기술 역량을 갖춰 급성장하는 친환경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고 있다.

LG 관계자는 "클린테크 분야에서 협업, 지분투자,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하며 신사업 기회를 지속해 탐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존 석유화학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하고, 탄소중립 등 글로벌 트렌드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