썬큰형 중정형 판상형 설계 등
상가시장에서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하층에 썬큰설계를 도입해 지하층의 단점인 통풍과 채광 문제를 해결해 개방감을 높힌 상품들이 속속 선을 보여 눈길을 끈다. 분양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 서울 영등포구 당산역 인근에서 공급된 ‘당산역 데시앙루브’ 오피스텔 단지내 상가의 경구 지하 공간을 살리기 위해 중정형(오피스텔 각 실을 ‘ㅁ’자 형태로 배치하고 중앙에는 로비나 휴게공간을 만드는 것) 설계를 적용해 단기간내에 100% 분양을 마쳤다.
중정형 설계로 자연 채광과 통풍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하 공간 개방감도 끌어올린 것이 성공적인 분양의 원인으로 업계의 설명했다. 상가의 경우 지하층은 지상 1층보다. 분양가는 1/3가량으로 저렴함에도 불구하고 개방감과 접근성 등이 떨어져 투자자나 임차인의 선호도가 떨어져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최근 분양업체에서는 아예 지하층을 공급을 안하거나 대형마트, 스크린골프장 등을 입점시키는 경우가 많았는데 썬큰형 설계를 도입해 개방감과 전용 에스컬레이터 등을 통해 단점을 극복해 성공한 사례가 늘고 있어 상가시장에 이런 시도가 늘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세난과 1~2인 가구의 급증으로 인기가 높은 오피스텔의 경우 중정형 설계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그동안 오피스텔의 최대 단점으로 꼽혀왔던 환기나 통풍 등의 기능을 고려해 환기와 통풍에 유리한 중정형 설계를 도입하는가 하면 아파트에서나 볼 수 있었던 높은 천장고 등의 설계도 오피스텔에 속속 도입되고 있다.
중정형 설계란, 일반적인 박스형 형태가 아닌 ‘ㄴ·ㅁ·ㄷ’자의 건물 배치로 내외부의 빛을 끌어들여 채광을 높여주고 바람길을 열어 통풍을 극대화 한 설계를 말한다. 이러한 설계가 적용된 오피스텔은 분양시장에서도 실제 인기가 좋았다. 실제로 현대엔지니어링이 서울 마곡지구에서 공급한 '힐스테이트 에코 마곡역(2015년 11월 분양)'은 전용면적 19~20㎡로 구성된 소형 오피스텔로 ‘ㄷ’자의 건물 배치로 중정형 설계를 적용했으며, 이 오피스텔은 단기간에 100% 계약을 완료됐다. 주로 상업지구에 공급되는 오피스텔의 특성상 전용률이 낮아 환기 및 통풍이 떨어지는 것이 최대 단점을 꼽혀 왔지만 최근 공급되는 오피스텔은 이를 보완할만한 중정형과 같은 다양한 특화 설계를 제공하고 있는데 더욱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요자들이 환기 및 통풍에 대한 요소를 더욱 꼼꼼하게 따지고 있어 실내환경이 쾌적한 오피스텔이 이 눈길을 끌고 있다.
아파트 시장에도 개방감이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 설계에 복고 바람이 불면서 판상형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건설사들이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인기를 끌었던 탑상형보다 옛날 스타일의 판상형 공급을 늘리고 있는 것.
판상형은 네모반듯한 성냥갑 형태로 1990년대까지 큰 인기를 끌었지만 2000년대 초반 화려한 외관의 탑상형에 밀려났다. 탑상형의 경우 조망권과 일조권 확보에 유리하고 단지 내 녹지 공간을 판상형에 비해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개 층에 3~4가구를 둥글게 배치하는 탓에 거실과 마주보는 쪽 벽면이 막혀 통풍이 잘 되지 않고 옆 가구와 거리가 좁아 사생활보호가 어려운 점 등이 단점으로 꼽힌다. 구조상 통풍·환기에 불리해 관리비가 높고 오피스텔처럼 전용률이 낮아 공간 활용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판상형 아파트는 거실과 마주보는 벽면에 창이 있어 맞통풍이 잘 되고 채광이 좋다. 정남향 방향으로 배치되는 대부분의 판상형의 경우 난방비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최근에는 판상형에 4~5.5베이 구조를 적용하는 등 판상형의 장점을 극대화한 상품 공급으로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같은 단지 내 비슷한 면적이라도 탑상형보다 판상형의 인기가 높았다. 지난 4월 공급돼 전국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마린시티자이‘의 최고경쟁률은 판상형인 전용 84m²A의 837대 1이었다. 반면 탑상형의 전용 80m²B 주택형은 30가구 모집에 7378명이 청약하는 데 그쳤다. 지난 5월 광명역세권에서 분양한 ’광명역 태영데시앙‘ 역시 판상형이 두각을 나타냈다. 1순위 청약 결과 판상형인 84m²A 타입이 46.6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탑상형인 102m²B 타입은 4.02대 1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를 반영하듯 실제 건설사들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판상형 아파트 비중을 높이고 있다. 판상형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분양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도시나 택지지구 등에서 분양되는 대단지 아파트는 전 가구 내지 대부분의 가구를 판상형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판상형 아파트는 경제성과 실용성면에서도 좋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고 업계는 설명한다. 지금처럼 실수요자들이 많은 경우 실거주에 장점이 많은 판상형이 청약경쟁률과 집값 오름폭 등이 타워형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장경철 부동산일번가 이사는 “상가나 오피스텔은 임차인 위주로 아파트는 실수요자 위주의 맞춤형 설계가 도입되고 있는 추세”라며 “최근에는 실속형 투자가 늘면서 분양업체들은 단점을 보완해 최소화하고 장점을 극대화한 마케팅 전략이 대세를 이룰 전망이다”고 말했다.
분양 상가를 보면 ‘강동역 파밀리에 테라자’는 230가구 규모의 ‘강동 신동아 파밀리’에 단지내 상가로 5호선 강동역과 바로 연결되는 초역세권 상가이다. 강동역의 경우. 일일 유동인구만도 7~9만 명에 이르는 거대상권으로 상가와 연결되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단절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올 수 있는 장점을 통해 상가활성화에 도움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 1층 56개, 지상 1층 20개, 총 76개 점포로 공급되며 휴식과 새로운 테마, 맛과 멋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썬큰형 테라스 스트리트형 상가(일부점포 한정)으로 개발된다. 업무동 상가도 분양중이다. 지상 1층~5층은 상가로 공급될 예정이고 1층에 스타벅스가 입점이 확정됐다.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1101-7번지 외7필지에 지하 3층~지상 16층의 도시형생활주택 299세대, 오피스텔 124세대로 ‘구로 G밸리 소홈’이 들어선다. 전 세대 공간 효율성 및 안전성을 반영한 풀 퍼니시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을 도보 1분 거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자차 이용시 시흥IC를 이용해 남부순환로 및 서부간선도로 등 광역적 이동이 수월하다. 또 2019년 완공예정인 신안선선 개통되면 환승역이 된다.
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6-3번지 일대에 ‘안산 센트럴파크 그랑베르’ 오피스텔이 분양중이다. 연면적 24,598.11㎡, 지하 3~지상 25층, 총 397실 오피스텔과 근린생활시설(3호)이 공급된다. 층별 구성은 지하3~지하 1층은 주차장 등 1층은 근린생활시설 등 5~25층이 오피스텔로 이뤄진다. 4면이 탁 트인 25층 초고층으로 지어져 개방감, 조망권 및 일조권을 확보했으며 4호선 안산 고잔역 및 중앙역 도보 3분, 5분거리 역세권 오피스텔로 안산 중앙대로 접해 있다.
아파트의 경우 효성이 소사2지구 A-1블록과 A-2블록에 짓는 ‘평택 효성해링턴 플레이스’가 있다. 인근 단지들이 3.3㎡당 1000만원에 육박하는 금액으로 공급되고 있는 반면 3.3㎡당 800만원대 분양가 책정으로 경쟁력을 갖췄다고 분양 관계자가 전했다. 3240가구 40개동, 전용면적 59~136㎡의 다양한 주택형으로 구성되며 단지 주변은 교통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차량으로 15분 거리에 수서발 KTX인 SRT(Super Rapid Train) 지제역이 올해 말 개통된다. 조경시설 및 커뮤니티시설도 다량으로 갖춰진다. 축구장의 약 8.5배 규모의 테마 조경이 적용되며 평택에서 최대 규모의 스파까지 단지 내에 조성될 예정이다. 총 8개의 테마형 커뮤니티 시설도 마련된다. 효성은 내부 설계에도 힘을 기울였다. 채광과 통풍이 좋은 4베이-판상형 설계에 △팬트리 △드레스룸 △3면 발코니 등을 적용했다. 동 배치는 남향 위주로 이뤄진다.
SG신성건설이 경북 영천시 완산동에서 ‘완산지구 2차 미소지움 프리미엄’을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28층, 6개동, 총 773가구 규모, 분양가는 3.3㎡당 최저 600만원대, 중도금 이자 60% 전액 무이자 혜택을 제공한다. 영천초·영천고 등 교육시설이 있다. 내년 동대구~영천 간 복선전철화사업이 완공되면 17분대에 대구로 오갈 수 있다.
김성배 기자 ksb@

뉴스웨이 김성배 기자
ks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