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은, 경제동향 간담회 화두 미·중 ‘리스크’(종합)

한은, 경제동향 간담회 화두 미·중 ‘리스크’(종합)

등록 2015.10.28 17:51

박종준

  기자

공유

美 금리인상과 中 경기 둔화 우려···이주열 “영향 크지 않을 것”

한은, 경제동향 간담회 화두 미·중 ‘리스크’(종합) 기사의 사진

한국은행 주최한 10월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등 세계경제 리스크에 따른 대비책이 주로 논의됐다.

한국은행은 28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10월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최근 대외여건 변화와 경제동향 등에 대해 폭 넓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주열 총재는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세계경제 키워드는 불확실성”이라면서도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최근 해외 인사들과의 만남에서 “대부분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외환보유액 등 외환건전성이 양호해 신흥국과 분명히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우회적으로 우리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도 내비쳤다.

다만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 총재는 중국 경제 둔화 우려에 대해 “일부 우려처럼 경착륙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미 금리인상과 중국 성장세 둔화 등 G2 리스크라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구조개혁 등을 통해 잠재성장력을 높이고 미래 성장산업을 발굴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참석자들도 중국경제의 성장전략 전환 및 수입구조의 변화가 상당기간 한국의 대중수출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또 내수회복 지속을 위해 불필요한 규제 등을 완화함으로써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박종준 기자 junpark@

뉴스웨이 박종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