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국내 첫 UAM 실증사업자격 획득 KT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했다. 10월 말부터 인천 아라뱃길에서 5G 항공망을 활용한 교통관리와 안전성, 각종 돌발 상황 대응 등을 실증한다. 현대차, 대한항공 등과 협력해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사업을 추진하며, 저고도 모니터링 및 실시간 데이터 공유 등으로 상용화 기반을 다진다.
기업 보안상품 파는 SK쉴더스, 정작 제집 정보는 '줄줄' 국내 대표 보안기업 SK쉴더스가 다크웹 해커 조직의 공격으로 약 24GB 분량의 고객사 보안정보와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가 유출됐다. 내부 테스트 환경 내 직원 메일 설정 실수가 원인이며, 해커는 2차례 경고 후에도 회사가 해킹 사실을 뒤늦게 인지했다. 이번 사고로 SK쉴더스의 신뢰 하락과 더불어 2차 피해, 자체 보안 솔루션 시큐디움의 실효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SK쉴더스, SKT·KB금융 자료까지 해킹···2차 피해 우려 다크웹 해커그룹 블랙 슈란탁이 SK쉴더스 내부 데이터를 24GB 해킹하여 고객사 네트워크 정보, 관리자 계정, 소스코드, API키 등을 유출했다. 이로 인해 SK텔레콤, KB금융,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의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KISA는 신속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AWS 대규모 서버 장애···퍼플렉시티 등 온라인 서비스 먹통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대규모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면서 퍼플렉시티, 스냅챗, PUBG: 배틀그라운드 등 주요 온라인 기반 서비스가 일제히 접속 불안정을 겪고 있다. 20일 정보기술(IT) 업계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쯤 AWS US-EAST-1 리전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서비스 오류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AWS 인프라를 사용하는 국내외 여러 서비스에서 접속 지연, 서버 불안정 등 장애가 보고되고 있다. 아라빈드 스리니바
李 대통령 "게임은 질병 아니다" 발언에 게임업계 '환영' 국내 9개 게임 단체가 이재명 대통령의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니다'라는 발언을 환영하며, 이번 메시지가 사회적 인식 변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게임이용장애 논란 등으로 인한 낙인이 해소되고, 게임이 문화산업의 핵심으로 인정받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SK쉴더스, 2차례 해커 경고에도 일주일 '늑장 신고' SK쉴더스가 해커 조직의 경고를 두 차례나 받았음에도 이를 해킹 사고로 인지하지 못해 일주일이나 늦게 신고한 사실이 드러났다. 기술직원의 Gmail 24GB가 해킹되어 금융권, 반도체, 공공기관 정보 일부가 다크웹에 유출됐으며, SK쉴더스는 피해지원 서비스와 후속 조치를 거부해 피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객 대응부터 급여 지급까지"···뤼튼의 AI 혁신은 '현재 진행형'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사내 독립기업 뤼튼AX를 통해 고객 상담, 재무,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 등 분야에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성과를 AX 리포트 2025에서 공개했다. 주요 업무의 생산성은 최대 35% 증가했고 노동 시간은 최대 73% 단축됐다. 독자 지표인 'AI 생산성 지수'로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했다.
게임업계에 분 AI 바람···AWS "산업 전반에 혁신 일으킬 것" AWS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해 게임 산업 전반에 혁신을 예고했다. 개발비 상승과 복잡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생성형 AI, 아마존 Q, 베드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크래프톤 등 국내외 게임사가 AWS 인프라 기반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조회수 160억'···아기상어 10주년, 유튜브 스페셜 콘텐츠 공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가 유튜브에서 160억 조회수를 기록한 '아기상어' 탄생 10주년을 맞아 성공 전략과 성장 과정을 조명하는 스페셜 콘텐츠를 공개했다. 아기상어는 244개국, 25개 언어로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키며 가족 친화형 K콘텐츠로 자리 잡았으며, 더핑크퐁컴퍼니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사업 확장과 연내 상장을 추진 중이다.
카페24-스튜디오달라, 신규 웹 예능 '써보니 달라' 제작 카페24와 달라스튜디오는 체험형 리뷰 예능 '써보니 달라'를 공동 제작하여 22일 유튜브에서 공개한다. 유튜브 쇼핑 연동,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제품 검증 콘텐츠, 플랫폼 기술력과 디지털 미디어 역량 결합으로 브랜드와 소비자의 신뢰와 구매 전환율을 극대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