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 피해 규모 예상보다 커···곧 대국민 사과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정보 유출 피해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큰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 조사 결과 수백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왔으며, 이르면 이번 주 롯데카드 대표가 직접 사과문과 피해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대주주 MBK파트너스의 보안 투자 소홀도 도마에 올랐다.
'해킹사고 무관용 원칙' 강조한 이찬진 금감원장···여전업계 긴장 '최고조'(종합)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롯데카드 해킹 사건을 계기로 여전업계에 사이버 보안 무관용 원칙 준수를 촉구했다. 최고경영진의 직접 개입과 보안 인프라 점검을 강조하며, 금융소비자 정보 보호와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했다. 업계는 해킹 사고 재발 방지와 소비자 신뢰 확보에 총력 대응 중이다.
이찬진 금감원장 "여전사 CEO 직접 나서 정보보호 대책 수립·시행해달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여전사 CEO들에게 금융소비자 보호와 정보보안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그는 제로톨러런스 원칙에 따라 보안 대책 마련과 시행, 소비자 대응 채널 개선, 내실 있는 내부통제, 부실 PF 관리 등 사전 대응을 강조했다. 업계는 정보보호 강화와 시장 혁신 의지로 화답했다.
'위메프 사태' 재발 막는다···PG사 정산자금 외부관리 의무화 금융감독원이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의 파산이나 회생 시에도 판매자가 정산자금을 안전하게 지급받도록 외부관리 가이드라인을 도입한다. 내년 1월부터 적용되며, PG사는 정산자금의 60% 이상을 신탁이나 지급보증 등 외부에서 관리해야 한다. 전자상거래 피해 예방과 판매자 보호 강화가 기대된다.
차기 여신협회장 인선 초읽기···하마평 인물들에 '눈길'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차기 협회장 인선을 둘러싼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관료, 민간, 학계 등 다양한 후보들이 거론되는 가운데, 정권 교체기가 맞물리며 교체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후보 공모 및 선출 절차는 이달 중 본격화될 전망이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고에 무거운 책임 통감···전액 책임지고 보상할 것" 롯데카드에서 외부 해커에 의한 사이버 침해 사고가 발생해 조좌진 대표이사가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회사는 보안 관리 미흡을 인정하며 고객 피해 예방을 위한 전사적 대응에 나섰다.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카드 재발급 등 보상 조치를 약속했다.
롯데카드, 해킹 피해 예방 만전···고객 보호 조치 강화 롯데카드는 최근 해킹 사고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대응해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했다. 24시간 전용 상담 창구 운영, 비밀번호 변경 등 온라인 보안 지원, 이상금융거래 모니터링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이 시행 중이다. 부정사용 시 선보상도 약속했다.
'업계 6위' 롯데카드, 해킹 사고 늦장 인지···"고객 정보 유출 가능성" 국내 카드사 6위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를 당하고도 17일 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롯데카드 내부파일 외부 유출 시도가 3일 동안 발생하고 이 기간 중 2회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롯데카드가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해킹 사고 인지 시간은 8월 31일 12시였다. 하지만 금감원이 파악한 해킹에 따른 최초 내부파일 유출 시간은 8월 14일 19시 21분이었다. 이후 16일까지 유출 시도가
"'망 분리' 만으로 부족한가"···연이은 해킹에 고민 깊어지는 2금융권 최근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해킹과 랜섬웨어 공격이 잇따르며 고객정보 유출 등 보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망 분리 등 기존 보안체계만으로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디지털 금융보안법 등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찬진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소비자 불안 증폭 우려···보안체계 전면 재점검 당부"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금융시장 내 소비자 불안이 커지자, 금융감독원 이찬진 원장은 비상대응체계 가동과 신속한 현장점검을 지시했다. 소비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용 콜센터 운영, 이상금융거래 모니터링 강화, 피해액 전액 보상 등 조치가 시행될 예정이며, 금융권엔 보안체계 재점검과 엄정 제재를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