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5년간 주식투자 위반 임직원 113명···징계는 단 4명 최근 5년간 금융감독원 임직원 113명이 주식투자 관련 규정을 위반했으나 실제 징계는 4명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적발자의 대부분은 경고나 주의에 그쳤으며, 중징계 사례는 없었다. 금감원 임직원의 금융투자상품 보유 규모와 인원도 꾸준히 증가해 실효성 있는 감찰과 규정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5대 은행, 당기순이익 증가 속 서민금융 지원 오히려 줄였다 5대 은행의 당기순이익이 2020년 대비 1.6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서민금융 지원 규모는 약 15% 줄었으며, 순이익 대비 지원 비중도 절반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면예금 출연이 서민금융 지원 금액의 대부분을 차지해 비판이 제기된다.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에···한은, 기준금리 인하 부담감↑ 원·달러 환율이 1423.0원으로 출발하는 등 5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미 정부 셧다운과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지속되는 부동산 가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로 인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11월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은 "연휴 기간 글로벌 리스크 다소 증대···시장 상황 점검" 한국은행은 추석 연휴 기간 미 연방정부 셧다운과 주요국 재정 이슈로 글로벌 리스크가 다소 증대됐다고 밝혔다. FTSE Russell의 한국 국채 세계국채지수 편입 재확인이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나, 원화 약세와 함께 대내외 불안 요인이 상존해 지속적 시장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韓 외환보유액 4220억 달러···넉 달 연속 증가세 2025년 9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220억2,000만달러로 전월보다 57억3,000만달러 증가하며 네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은 운용수익 확대와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증가가 주요 배경이라고 밝혔다. 유가증권 비중은 89.7%로 집계됐다.
혁신 외쳤던 새마을금고, 부실금고 합병과정 깜깜이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를 겪고 전면 혁신을 다짐했던 새마을금고가 여전히 부실금고 합병 과정에 있어 투명성과 책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업계 및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합병이 이뤄진 금고는 전국 총 32개였다. 이 중 자율합병은 4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28곳은 부실로 인한 합병이었다. 현행 새마을금고 합병업무 지침에
농협 공동대출 연체율 20% 육박···부실 경고등 농협 상호금융의 공동대출 연체율이 2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업시설 담보 공동대출 연체율은 30% 가까이 치솟아 농협이 무리한 기획부동산식 대출로 인해 부실을 초래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호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 자료를 제출 받는 결과 올해 8월 말 농협 상호금융의 공동대출 연체율은 19.23%였다. 공동대출 연체율의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1.2
잘나가던 4대 금융지주, 3분기 실적 상승세 '주춤' 2023년 3분기 4대 금융지주사의 합산 순이익은 4조87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할 전망이다. KB금융과 하나금융은 실적이 소폭 줄고, 신한금융만이 4.1% 순이익 증가가 예측된다. 우리금융은 보험사 인수 효과 반영 시 1조원 돌파가 기대된다.
새마을금고 동일인 한도초과 대출 4년 새 9배 급증 새마을금고의 동일인 한도 초과 대출이 최근 4년간 약 9배 급증하며 4033억 원을 기록했다. 건수 및 임직원 징계도 동반 상승했고, 최근 5년간 금융사고 74건, 피해액 440억 원에 달했다. 정부는 금융건전성 확보를 위해 합동감사를 진행 중이다.
연휴 끝나면 이사철···금융당국 대출 추가 규제 카드 '만지작'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며 매수세가 회복되고 있다. 현행 가계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늘자 금융당국은 전세대출 DSR 적용,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 등 추가 규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장은 실수요자 부담, 양극화 심화 등 부작용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