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빅3, 지난해 4000여명 신규 채용···한화오션 '최다 기록' 지난해 호황기를 맞은 국내 조선 대표 기업 3곳이 지난 한 해동안 4000여명 가까이 신규채용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조선·HD현대삼호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 3사는 지난해 총 3921명을 신규 채용했다. 2022년(1789명), 2023년(3029명) 등 꾸준히 증가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한화오션이 2122명으로 가장 많이 채용, 삼성중공업이 1037명, HD한국조선해양이 762명 순으로 채용했다. 신입사원 채
'10월 특수' 유커의 귀환···북적이는 韓中 하늘길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으로 한중 항공 노선 여객 수요가 급증하며 국내 항공사들의 실적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추석과 국경절 연휴 특수, 정부의 비자 면제 정책, APEC 정상회의 등 여러 호재가 겹쳐 대한항공·아시아나·저비용항공사들의 중국 노선 증편 및 신규 취항이 잇따른다. 코로나19와 사드 사태 이전 수준 회복이 전망된다.
'피크아웃' HMM 매각 설왕설래···몸값 요동칠까 상하이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하며 HMM의 실적 악화와 몸값 하락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운임 하락세와 글로벌 물동량 감소, 미국의 추가 규제까지 더해져 매각 논의에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아시아나·대한항공 마일리지 '1대1' 전환···합병 후 10년간 마일리지 보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의 마일리지 통합방안을 발표했다. 아시아나 마일리지는 10년간 별도 운영되며, 이후 대한항공 스카이패스로 통합된다. 탑승 마일리지는 1:1, 제휴 마일리지는 1:0.82 비율로 전환된다. 우수회원 등급 자동 매칭, 마일리지 사용처 확대 등 소비자 편의성이 강화됐다.
'75년 파트너십'···보잉, 한국과 미래 항공우주 주도 보잉이 75년간 이어온 한국과의 협력을 넘어 공동 기술개발과 수출 등 장기적 파트너십 강화에 나선다. 대한항공, KAI, 한화, LIG넥스원 등과 협업 확대와 함께 올해 한국 시장 투자액을 최대 50% 늘릴 계획이다. 대형 항공기 계약을 비롯해 방산 수출 4대국 목표에도 동참 의지를 밝혔다.
대한항공, 국산 SAF로 일본행 노선 운항···HD현대오일뱅크·GS칼텍스 공급 대한항공이 국산 지속가능항공유(SAF)를 일본행 노선에 투입한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내년 연말까지 1년 4개월 동안 인천∼고베(KE731)와 김포∼오사카(KE2117) 노선의 전체 항공유 1%를 국산 SAF로 대체한다. 이는 지난달 종료된 인천∼하네다 노선 SAF 혼합 운영에 이은 확대 적용이다. 하네다 노선에서는 에쓰오일과 SK에너지가 공급을 맡았다. 이번 사업에서는 HD현대오일뱅크가 인천∼고베 노선(90회)에, GS칼텍스가
포스코 인수설에 흔들리는 HMM, '그래도 마이웨이' HMM은 포스코 인수설과 지속되는 민영화 논란 속에서 경영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각 주주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며 매각 작업이 가시밭길이 되고 있다. 이에 HMM은 컨테이너 시황 하락과 SK해운 인수 무산 이후에도 23조 투자계획을 유지하며 벌크선 등 사업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HJ중공업, 최대주주 대상 2000억원 제3자배정 유상증자 추진 HJ중공업은 약 2000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주당 2만8456원에 신주 702만8394주가 발행된다. 제3자 배정 대상은 지분 56.59%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이다. HJ중공업은 재무구조 개선과 글로벌 수주 확대 등 중장기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조달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올해 2분기 기준 565%에 달하는 HJ중공업의 부채비율은 이번 유상증자로 350%로 낮아지게 된다
대한해운, 이동수 신임 대표이사 선임 SM그룹 해운 계열사 대한해운은 5일 이동수 그룹 재무실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 신임 대표는 광주은행에서 40년간 근무한 금융·재무·기획 전문가로, 2022년 SM그룹에 합류해 SM신용정보와 티케이케미칼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SM그룹은 계열사 대표를 거치며 쌓은 경영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해운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표는 "대한해운이 새로운 도약의 항로를 열어 대한민
포스코그룹, HMM 인수 검토···"사업성 점검 단계" 포스코그룹이 국내 최대 해운사 HMM 인수를 검토 중이다. 삼일PwC와 보스턴컨설팅 등과 자문단을 구성해 사업성을 분석하고 있으며, 산업은행 등 주요 주주의 지분 매입을 통한 경영참여 방안도 논의된다. 해운업 진출은 철강·이차전지 사업의 한계 극복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시도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