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W리포트
한은 CBDC 실험 두달···금융권 "프로젝트 한강···갈 길 멀다"
한국은행의 '프로젝트 한강'은 CBDC의 실사용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으로, 10만명을 대상으로 시중은행과 함께 진행된다. 스테이블코인의 확산 속에서 국내외 금융권은 디지털화폐의 사용성과 편의성, 혜택 부문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실험 결과는 향후 디지털화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기업지배구조 | 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세 아들에 증여···경영권 승계 완료(종합)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 지분율 42.67%⋯경영권 승계 완료 증여 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
기업지배구조 | 한미
'가족 봉합' 끝낸 한미약품, 다음은 이사회 정비···장녀 신규 진입·차남은 유지
가족 간 봉합을 마친 한미약품그룹이 이사회 전열을 재정비한다. 장녀 임주현 한미사이언스 부회장과 대표직에 내정된 김재교 전 메리츠증권 부사장이 이사회에 신규 진입하고, 마지막까지 경영권을 두고 다툼을 벌이던 차남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전 대표는 사내이사직을 유지한다. 이에 그간 그룹이 제시한 '한국형 선진 지배구조' 체제 구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지주사 한미사이언스와 사업회사 한미약품은 전날(5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오는 26일
기업지배구조 | 한미
한미家 분쟁 종식···남은 과제 '실적·신뢰 회복'
1년간 지속되던 한미약품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가족간 봉합으로 마무리됐다. 이로써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던 디스카운트 요인이 제거될 거란 전망이 짙다. 다만 지배구조 강화, 주가 회복 등의 해결과제가 남아있다. 임종훈 대표 사임, 사내이사직 유지 여부 관심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은 지난 13일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의 사임으로 종지부를 찍었다. 이 자리는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이 맡으며 경영권을 되찾았다. 그룹의 분쟁은 고(故) 임성
+ 새로운 글 더보기
'코스닥 1위' 알테오젠, 기대감 '굳건'
알테오젠이 코스닥 시가총액 1위를 확고히 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ALT-B4 플랫폼이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하며, 기술 수출과 마일스톤 계약을 통해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향후 키트루다SC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출시가 예정되어 추가 수익이 기대된다.
SUV가 이 정도였어? 르노 아르카나의 달라진 존재감
소형 SUV(스포츠 실용차량) 시장에 다크호스가 등장했다. 르노코리아가 기존 '아르카나' 모델에 최상위 트림 '에스프리 알핀'을 덧입히며 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나선 것이다. '가성비 끝판왕'이라 불리던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E-Tech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성능과 세련된 디자인을 갖춰 2026년형 차량으로 새롭게 돌아왔다. 브랜드 '알핀'의 헤리티지와 스포티 스타일을 디자인에 접목한 '에스프리 알핀'을 최상위 신규 트림으로 추가하며 더욱 강
김동선의 사업 전선 '확산'···반도체 장비 공급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갤러리아 부사장이 사업 전선을 넓혔다. 백화점과 외식, 단체급식에 이어 이번엔 반도체 장비 시장이다. 유통 기반 소비사업을 중심으로 쌓아온 입지를, 이제는 기술 산업으로 확장하고 있다. 한화세미텍은 지난달 SK하이닉스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에 사용되는 TC본더(열압착장비) 공급 계약을 두 차례 체결했다. 각각 210억 원 규모다. 7월까지 납품될 예정이다. 기존에 해당 장비를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한미반
K뷰티 흥행에 최대실적...지분가치만 1조3500억원
K뷰티 열풍에 힘입어 화장품 브랜드 '메디큐브'를 보유한 에이피알이 주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상장 이후 액면분할을 반영한 공모가 대비 최대 135% 오른 주가 덕분에 김병훈 대표이사의 지분가치도 1조원을 훌쩍 넘겼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피알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5%(1700원) 오른 11만4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에는 공모 이래 최고가인 11만7100원을 경신하기도 했다. 에이피알은 지난해 2월 공모가 25만원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달바글로벌, K-뷰티 업고 성장가도 달린다
프리미엄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달바'를 운영하는 달바글로벌이 코스피에 상장해 주가가 76% 급등했다. 달바의 빠른 성장은 실적 기반의 성장성과 수출 주도형 구조, 주주 친화 전략이 유기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IPO 과정에서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해외 시장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실익 없는 거래···LG-롯데 'NCC 통합' 물 건너갔다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NCC 구조조정이 컨트롤타워 부재로 지지부진하다. 정부는 자율 방관 중이고,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통합설도 부인된 상태다. 중국발 공급과잉과 글로벌 수요 둔화로 수익성 악화되었으며, 정부의 적극적 중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화의 아워홈, 신임 김태원 대표가 짊어진 과제
한화 출신 김태원 아워홈 신임 대표이사가 아워홈 비전을 제시했다. 오는 2030년까지 매출 5조원과 영업이익 3000억원을 달성해 업계 1위 종합식품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김 대표는 아워홈 조직 안정화와 한화와의 통합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워홈은 지난 16일 임시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열고 신임 대표이사로 김태원 한화갤러리아 미래사업TFT장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날 아워홈은 김 신임 대표를
위고비 '요요현상'에 급여화 논의 의견 분분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국내 비급여 의약품 시장을 장악하며 높은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GLP-1 계열인 위고비는 체중 감량 효과가 인정되어 인기를 끌고 있지만, 요요현상과 급여화 필요성의 논쟁이 불붙었다. 비만법 제정에 대한 논의도 진행 중이며, 비만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워홈 품은 김동선, 급식판 뒤흔들다
한화그룹이 아워홈 인수로 단체급식 시장에 재진입하며, 계열사와의 시너지로 급식 및 식자재 유통 사업의 확장을 예고했다. 김동선 부사장의 주도로 이루어진 이번 인수는 코로나19 이후 급식시장의 성장과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아워홈의 주요 고객사였던 범LG계열의 이탈 가능성이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미래 먹거리 '바이오' 점찍었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실시하며 신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롯데, LG, CJ 등은 기존 기업 인수와 연구 개발에 나서며 바이오 분야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투자 가속화는 삼성과 SK의 성공 사례를 본받아 저성장 국면을 극복하려는 전략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