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서울 26℃

인천 27℃

백령 23℃

춘천 25℃

강릉 29℃

청주 30℃

수원 29℃

안동 30℃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0℃

전주 31℃

광주 31℃

목포 31℃

여수 30℃

대구 32℃

울산 32℃

창원 31℃

부산 32℃

제주 31℃

기자수첩

중국의 과잉, 한국의 위기

최근 산업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단연 '중국'입니다. 사람들은 '중국' 하면 만리장성과 천안문을 떠올리지만, 기자의 머릿속에 스치는 단어는 단 하나입니다. 바로 '공급과잉'. 국내 전방 산업인 석유화학부터 배터리, 철강, 반도체 등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산업들이 모두 중국의 끝없는 '쏟아내기'로 인해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붕괴 조짐을 보이는 업종은 석유화학입니다. 중국이 내수 소비 둔화를 만회하려는 듯 막대한 물량을

중국의 과잉, 한국의 위기

기자수첩

생·손보사 제3보험 경쟁 격화, '빅 블러'가 던진 숙제

보험업계에 '빅 블러' 현상이 본격화되며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 제3보험 시장에서 두 업권의 경쟁이 격화됐고, 생보사가 손보사를 초회보험료 규모에서 앞질렀다. 그러나 과열 경쟁이 업계 전체 수익성을 악화시키며, 장기적으로 보험료 인상과 소비자 피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생·손보사 제3보험 경쟁 격화, '빅 블러'가 던진 숙제

기자수첩

금융권에 부는 '반강제 생산적 금융' 열풍

정부와 금융당국이 생산적 금융 투자를 압박하며 금융권에 반강제적인 변화가 확산되고 있다. 가계대출과 부동산 위주였던 자금 흐름을 혁신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금융사들은 높은 위험과 수익성 저하, 건전성 악화 우려에 직면했다. 이에 금융사 자율성 확보와 정책적 인센티브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에 부는 '반강제 생산적 금융' 열풍

기자수첩

'시간'보다 '신뢰'가 먼저···거래시간 연장 논란의 본질은

한국거래소가 주식 거래시간을 최대 12시간까지 늘리는 방안을 논의 중이나, 대형 증권사와 중소형사 간 이해관계 충돌과 시스템 리스크 우려가 크다. 장시간 거래는 오히려 시장 신뢰를 약화시키고, 투자자 보호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외 투자자 유치는 거래시간보다 투명성과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

'시간'보다 '신뢰'가 먼저···거래시간 연장 논란의 본질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