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후보 "회계 투명성, 자본시장 발전 위해 중요한 부분" 이억원 금융위원회 후보는 국내 상장사의 회계 투명성이 자본시장 신뢰도 및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회 정무위 인사청문회에서 낮아진 회계 투명성 순위와 함께 코리아디스카운트, 지배구조 등 문제점이 지적됐다. 이 후보자는 제도 개선과 내부회계제도 강화를 통해 시장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억원 후보, "주식 양도소득세 논란 결론 지어라" 질책에 "잘 알겠다"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하려는 방침을 두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집중 질의를 받았다. 국회는 금융위가 정책 결정을 미루고 있다며 조속한 결론을 촉구했다.
넥스트증권, 글로벌증권사 IBKR 임원 이사회 영입 넥스트증권이 글로벌 온라인 증권사 인터랙티브 브로커스(IBKR)의 아시아태평양 총괄 임원인 데이비드 프리드랜드를 이사로 선임했다. 프리드랜드는 오랜 글로벌 증시 경험과 IBKR의 경영 노하우로 넥스트증권의 해외 진출과 파트너십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억원 후보 "MBK, 중대한 위법행위 발견되면 엄중 처벌 할 것"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파트너스의 중대한 위법행위 발견 시 법과 원칙에 따라 강력히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과 검찰은 사모펀드와 자본시장법 위반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제도 개선 필요성도 언급했다.
루센트블록, 서울시와 공공자산 디지털 토큰화 '맞손' 루센트블록이 서울특별시와 공공자산의 부동산 토큰증권(STO)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 공공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해 시민 참여와 자산 활용을 높이고,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투자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토큰화 사업, 교육, 정책 개선 등이 함께 추진된다.
이억원 후보 "美 주식 투자는 시장 경험 차원"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미국 주식 투자 논란에 대해 시장 경험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총 7000만원 중 1100만원을 테슬라, 엔비디아 등 미국 주식에 투자했으며, 사외이사 겸임 및 보수 6억원 지급 의혹에 대해서도 적법한 절차를 거쳤다고 밝혔다.
백종원, 가맹점 상생 위한 100억 사재 출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가 개인이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120억 원 규모의 대출을 받아 사재를 출연하기로 했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더본코리아는 최대주주 등의 주식보유 변동 현황을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백 대표는 92만 337주의 개인 주식을 담보로 담보대출 20억 원과 한도대출 100억 원 등 총 120억 원 규모의 대출 약정을 체결했다. 한편,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1시 13분 기준 더본코리아는 전일 대비 1.26% 오른 2만2
iM증권, 삼성전기 목표주가 22% 상향···"테슬라 수혜·업황 개선 기대" iM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8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22% 상향 제시했다. 테슬라향 매출 성장과 MLCC·FC-BGA 업황 개선을 반영한 결과다. 2일 iM증권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테슬라에 MLCC, FC-BGA, 카메라 등 부품을 공급하며 주요 공급사 지위를 점하고 있다. 올해 테슬라향 매출은 약 6,080억 원으로 전체의 6%를 차지할 전망이다. iM증권은 테슬라의 전기차·휴머노이드·로보택시·서버 출하
NH투자증권, 삼성카드 목표주가 26% 상향···"주주환원 기대감 확대" NH투자증권이 삼성카드에 대해 주주환원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약 26% 높은 6만 8000원을 제시했다. 2일 NH투자증권은 "삼성카드는 40%대 배당성향을 꾸준히 유지해 왔으며 매년 주당배당금(DPS)을 유지하거나 상향하는 기조를 보이고 있다"며 "2분기 기준 레버리지 배율은 3.6배로 규제 한도(7배) 대비 낮아 추가 배당 여력을 보유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자사주 지분 7.9%의 활용 여부도 시장의 관심사다. NH투자증권은 외형 성장과 관
머스트운용, 리파인에 교환사채 발행 문제 제기···"주주가치 훼손한 결정" 머스트자산운용이 리파인의 교환사채 발행을 주주가치 훼손으로 규정하고 경영진과 최대주주를 상대로 개선을 공식 요구했다. 자사주 저가 발행, 고금리 이자 부담, 대주주 지분 확대 등 문제를 지적하며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했고, 배당 강화 및 ROE 제고 등 주주환원책 도입을 압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