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고려아연-영풍 회계 감리, 올해 하반기 결론" 금융감독원이 고려아연과 영풍의 회계 위반 혐의에 대한 감리 조사를 하반기 내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고려아연과 영풍은 지난해 10월 회계심사에서 위반 소지가 발견되어 감리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6개월이 경과했다. 금감원은 감리 절차를 따라 조사 중이며, 조사 결과는 올해 하반기에 발표될 계획이다.
금감원 "MBK, 이제 검찰 판단의 시간···행정 제재는 준비 중"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 사태 관련 MBK파트너스에 대한 조사를 마쳤으며, 법적 제재와 별도로 행정 제재를 준비 중이다. 금감원은 사모펀드 관련 검사 확대 계획을 발표했으며, 현재 검찰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은폐 및 사기 혐의에 대해 수사 중이다.
한국거래소, 6월 9일부터 파생상품시장 자체 야간거래 개시 한국거래소는 오는 6월 9일부터 파생상품 자체 야간거래를 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기존 유렉스(Eurex) 연계 파생상품 거래는 오는 6월5일 오전4시(서머타임 적용) 실시 후 종료된다. 자체 야간거래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 12시간 동안 이뤄진다. 오후 5시50분부터 6시까지 시가단일가 호가접수, 오후 6시 시가단일가 결정, 오후 6시부터 익일오전 5시50분까지 접속거래, 오전5시50분부터 10분간 호가 단일가 호가접수, 오전 6시 종가단일가 결정
금감원 "자본시장 혁신 노력 중단없이 추진···신뢰 훼손 엄중 대응" 금융감독원이 오는 6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임기 종료를 앞두고 그간 자본시장 부문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28일 금융감독원은 함용일 자본시장·회계 부문 부원장 주재로 브리핑을 열고 자본시장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노력을 중단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 산업은 외형적으로 지속 성장했다. 특히 개인투자자가 10년 전 대비 약 2.2배 증가한 1400만명에 달하는 등 이들의 자본시장에 대한 기대
한국거래소, 밸류업 1주년 세미나..."자본비용 공시로 신뢰 높여야" 한국거래소가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1주년을 기념하여 세미나를 열어 정책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자본비용 공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COE가 기업가치 제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소개했다. 중소기업의 공시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되었다.
밸류업 시행 1년, 자사주 소각 성과 속 한계 남아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1년 후 자사주 소각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성과를 냈다. 하지만 한국 증시의 저평가 상황은 지속되고 있으며 상장사의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도 저조하다. 이에 따라 세제 인센티브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밸류업 시행 1주년, KB금융·KT 등 10개사 우수기업 선정 한국거래소는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1주년을 맞아 HD현대일렉트릭, KB금융 등 우수기업 10개사를 선정하고 표창을 수여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정부로부터 세정 지원 등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이는 기업과 시장 문화의 변화를 촉진하고 긍정적 유인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이루어졌다.
3년간 재무제표 감리해 214사 제재···금감원 "분식회계 엄정 조치" 금융감독원이 최근 3년간 458개사 재무제표를 감리한 결과 214개사가 제재를 받았다. 중대한 회계부정 사례 22건은 검찰에 고발됐으며, 52개 기업에 772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돼 이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금감원은 IPO 예정 및 재무위험 기업에 대한 감리를 강화하고, 회계위반에 엄정히 대응할 방침이다.
자본연 "트럼프式 관세·환율 협공···한국 압박 가능성 높아" 자본시장연구원은 미국의 재정적자 및 국채 금리 상승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환율 압박 정책을 뒷받침하며, 한국이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미국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은 한국의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내 정책 조정 및 외환시장 안정 장치가 필요하다.
2025 대선 디지털자산 시장 활성화 '한목소리'···STO 제도권 편입 '가시화' 제21대 대통령 후보들이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워 1800만 투자자의 표심을 겨냥했다. 이재명 후보는 스테이블코인 인가와 거래 수수료 인하를 강조하며, 가상자산위원회 설치를 검토 중이다. 김문수 후보는 7대 공약을 통해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법안의 속도감 있는 추진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