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SKT·LGU+ 주파수값 전쟁···"깜깜이 정책이 빚은 촌극" 주파수 재할당을 둘러싸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할당 대가 산정 방식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업계는 정부의 불투명하고 일관성 없는 정책에 불만을 제기하며, 해외처럼 예측 가능하고 투명한 산정 체계 도입을 촉구한다.
SKT, 해킹 사고 '1인당 30만원 배상' 조정안 거부 SK텔레콤이 가입자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게 1인당 30만 원을 배상하라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분쟁조정위원회 조정안을 거부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날 오후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에 조정안을 수락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공식 제출했다. SK텔레콤은 "조정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하지만, 사고 이후 회사가 취한 선제적 보상 및 재발 방지 조치가 조정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수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주파수값 전쟁 점입가경···SKT "동일 대역엔 같은 값 적용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3G·LTE 주파수 재할당을 앞두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2.6GHz 대역 대가 산정을 두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SKT는 동일 대역 동일 대가 원칙을 강조하는 반면 LG유플러스는 용도와 보유 시점 차이를 근거로 차별 적용을 주장한다. 전파법 해석과 과거 사례를 토대로 업계 갈등이 고조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 결정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LGU+, 주파수값 '형평성 논란' 반박···"주파수 정책 부정하는 것"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주파수 재할당 대가 차이를 두고 불공정 논란이 일자, LG유플러스는 전파법과 정부 기준에 따른 정당한 책정임을 주장했다. 2.6GHz 대역의 주파수 가치는 사업자별로 다르며, 동일한 대가 적용은 법적 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경찰, '조사방해 의혹' KT 판교·방배 사옥 압수수색 경찰이 KT가 해킹 사고 처리 중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판교와 방배 사옥을 압수수색했다. 수사관 20여 명이 동원됐으며, 정보보안실장 등 관련자에 대한 수사도 확대되고 있다. 정부와 해외 매체의 해킹 가능성 제기로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됐다.
LGU+만 '반값 주파수'?···재할당 앞두고 '특혜 대물림' 논란 2026년 만료되는 3G·LTE 주파수 재할당 정책이 연내 확정될 예정인 가운데, SKT와 LG유플러스 등 통신사 간 할당 대가와 특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업계는 정부의 비대칭 규제로 형평성 문제와 특정 사업자에 유리한 재할당 가능성을 지적했다.
KT '유심 무상 교체' 수도권·강원 全지역으로 확대 KT는 최근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악용 우려에 대응해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 적용 지역을 수도권과 강원 전지역으로 확대하고, 다음 달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리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을 위한 택배 배송과 셀프교체 서비스도 제공하며, 매장 내 단말 보안 점검 등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KTis '광고사업' 매각 마무리···경영 효율화 박차 KTis가 주가 하락과 주주 반발 우려에도 불구하고 타운보드 광고 사업을 532억원에 중앙일보에 매각했다. 사업 매각은 비핵심 부문 정리와 경영 효율화 전략의 일환이며, KTis는 앞으로 AI컨택센터 등 핵심 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KT 수장 공모에 33인 응모···본격 심사 착수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대표이사 후보 공개 모집 및 추천을 통해 총 33명의 후보를 선정했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선자문단이 객관적 서류 평가를 진행하며, 이를 토대로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올해 안에 최종 1인을 추천할 예정이다. 최종 선임은 2026년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뤄진다.
KT 새 CEO 공모 마감···인물 면면 뜯어보니 KT가 차기 최고경영자(CEO) 공모를 마감하며 20~30명 규모의 다양한 후보군이 지원했다. 이현석, 김태호, 홍원표 등 현직 임원 및 외부 전문가가 경합한다. 추천위는 내부 추천과 외부 전문기관 등 다양한 경로로 후보를 선별한 뒤, 연말까지 단일 후보를 확정해 내년 3월 주주총회에 상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