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형제의 난’ 불씨 가능성?···가족간 합의 따라 달라져

[조현범 선택한 조양래③]‘형제의 난’ 불씨 가능성?···가족간 합의 따라 달라져

등록 2020.06.30 09:09

수정 2020.07.02 08:04

이지숙

  기자

공유

조양래 회장 지분 넘겨 받은 조현범 사장 42.9% 보유 차녀 조희원씨 장남 지지···‘경영권 분쟁’ 가능성 다분최대주주 오른 조현범 사장, 재판 리스크 해소에 주목

그래픽=박혜수 기자 hspark@newsway.co.kr그래픽=박혜수 기자 hspark@newsway.co.kr

조양래 한국테크놀로지그룹(구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회장이 차남인 조현범 사장에게 그룹 경영권을 물려주며 롯데, 효성, 한진그룹에 이어 한국테크놀로지그룹에도 ‘형제의 난’이 벌어질지 주목된다.

조양래 회장이 지난 26일 보유하고 있던 한국테크놀로지그룹 지분 23.59%를 조현범 사장에게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매각하면서 재계의 시선을 장남인 조현식 부회장에게 쏠렸다. 부친인 조양래 회장의 이번 결정이 경영권을 둘러싼 형제간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 회장은 차남인 조 사장에게 그룹 지분을 넘긴 26일 이전까지 23.59%로 최대주주 자리를 지켜왔다. 장남인 조현식 부회장도 19.32%를 보유, 근소한 차이로 차남인 조현범 사장(19.31%) 보다 지분율이 높았지만 이번 블록딜로 인해 조 회장의 지분을 넘겨 받은 조 사장의 지분율이 42.9%로 치솟으며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이외 차녀 조희원 씨 10.82%, 장녀 조희경 씨가 0.83%를 보유 중이다. 이밖에 국민연금 7.74%, 소액주주 17.57%로 보유지분이 크지 않다.

재계에서는 조양래 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대한 결정이 가족간 합의아래 이뤄졌는지가 향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의 가늠좌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만약, 조양래 회장이 장남인 조현식 부회장의 반대에도 밀어부친 것이라면 향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지분 10.82%를 보유한 조희원씨가 장남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형제의 난’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 조 부회장이 차기 후계 구도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차녀 조희원씨와 함께 경영권 분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조 부회장과 조희원씨의 지분을 합치면 총 30.14%로 조 사장의 지분 42.9%에는 부족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또한 경영권 분쟁을 대비해 우호지분을 포섭해 나간다면 차남에게 빼앗긴 경영권을 가져올 승산도 있다.

한편 블록딜 시기도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최근 조 사장이 배임 등의 혐의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대표이사에서 물러나며 후계 구도가 복잡해질 가능성이 제기되자 조 회장이 급히 블록딜을 통해 차남에게 힘을 실어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두산, 롯데, 한진, 효성 등 많은 그룹이 형제간 경영권 분쟁을 겪은 만큼 이를 사전에 차단했다는 것이다. 특히 롯데그룹의 ‘왕자의 난’은 장기간 이어졌고 한진그룹 또한 모기업 한진칼의 경영권 분쟁도 반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다만, 조 사장의 경우 역시 최대주주에 올랐지만 꽃길만이 펼쳐진 것은 아니다. ‘재판 리스크’부터 실적부진까지 해결해야할 난제가 쌓여 있기 때문이다.

조 사장은 협력업체로부터 납품 대가로 매달 수백만원씩 총 6억원 가량을 챙기고 계열사 자금도 횡령한 혐의로 지난달 17일 1심에서 조 사장은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 추징금 6억1500만원을 선고받았다.

지난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5억원 이상의 횡령·배임 등을 저지른 경우 경영진은 회사에 돌아올 수 없는 만큼 사법 리스크 해소가 가장 큰 숙제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