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성은 좌우로, LG는 상하로···곡면 스마트폰 승자는?

삼성은 좌우로, LG는 상하로···곡면 스마트폰 승자는?

등록 2013.10.29 08:20

수정 2013.10.29 10:57

강길홍

  기자

공유

LG G 플렉스. 사진=LG전자 제공LG G 플렉스. 사진=LG전자 제공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도 곡면(커브드) 스마트폰을 공개하면서 불꽃튀는 자존심 대결이 시작됐다.

LG전자가 28일 곡면 스마트폰 ‘LG G 플렉스’의 주요 사양과 디자인을 공개했다. G 플렉스는 위아래 방향으로 곡률 700R의 크기로 휘어져 있다. 이는 반지름이 70㎝인 원형을 잘라낸 정도로 휘어 있다는 뜻이다.

LG는 상하로 휘어진 디자인은 손, 얼굴 등 스마트폰이 자주 맞닿는 곳들과의 조화를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하로 휘어진 커브드 스마트폰을 내놓기 위해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 관계사들과 개발단계부터 협력해야 했다.

앞서 출시된 삼성전자의 곡면 스마트폰 ‘갤럭시 라운드’는 좌우로 휘어 있고 곡률 반경 400R의 크기로 G 플렉스보다 좀 더 휘어 있다. 하지만 G플렉스가 긴 방향으로 휘어 있어 갤럭시 라운드보다 더 많이 휘어 보일 수 있다.

특히 LG전자 측은 상하로 휘는 것이 진정한 곡면 스마트폰이라며 좌우로 휜 삼성전자의 갤럭시 라운드를 정면 겨냥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좌우 곡면인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보기 위해 옆으로 돌리면 화면 위아래 외곡이 생기지만 상하 곡면인 스마트폰은 곡면 TV를 보듯 감상할 수 있다”며 “또한 길이가 길수록 곡면을 구현하기가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삼성 갤럭시 라운드. 사진=삼성전자 제공삼성 갤럭시 라운드.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측은 상하와 좌우 곡면의 차이는 선택의 문제일 뿐 기술적인 문제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과연 ‘상하’와 ‘좌우’ 가운데 소비자들은 어느 쪽에 손을 들어줄지 관심이 모인다.

휘는 방식 외에도 두 제품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갤럭시 라운드가 한발 앞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갤럭시 라운드는 5.7인치 풀HD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채택하고 1920×1080 해상도를 지원한다. 반면 G 플렉스는 6인치 플라스틱 OLED를 채택해 화질이 HD급에 그친다. 또한 해상도로 1280×720으로 갤럭시 라운드에 못 미친다.

LG전자 관계자는 “HD급으로 해상도가 삼성제품보다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하나의 화소 안에 3개의 서브픽셀을 넣은 Real RGB 방식을 적용해 화질은 더 선명하다”고 강조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메모리에서도 갤럭시 라운드(3GB)가 G 플렉스(2GB)를 앞서고 있다. 다만 배터리 용량에서 만큼은 G 플렉스(3500mAh)가 갤럭시 라운드(2800mAh)를 앞서고 있다.

G 플렉스의 출고가도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출시된 갤럭시 라운드의 출고가는 108만9000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G 플렉스는 다음 중 출시될 예정이며 출고가는 아직 미정이다.

또한 갤럭시 라운드가 SK텔레콤 전용으로 출시된 것과 달리 G 플렉스는 이통3사를 통해 출시된다는 점도 변수다.

삼성은 좌우로, LG는 상하로···곡면 스마트폰 승자는? 기사의 사진



강길홍 기자 slize@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