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부 청년고용 종합대책 주요내용은?

정부 청년고용 종합대책 주요내용은?

등록 2015.07.27 17:56

현상철

  기자

공유

27일 발표된 ‘청년 고용절벽 해소방안’의 주요 내용은 단기간에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데 따른 고용 충격 완화와 산학 협력 등을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청년 고용의 인프라 확충에 있다.

정부는 △가시적 일자리 창출은 향후 3~4년간 우려되는 청년층의 취업고충을 덜기 위해 재정투입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 확대 △미스매치 해소는 산업수요에 맞는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대학체질 개선 등 가속화 △정책효과성 제고 부문은 정부부처·지자체별 유사·중복 일자리 사업 과감하게 통폐합, 효율적으로 재정비 등을 기본방향으로 세부 정책을 폈다.

우선 가시적 일자리 창출을 보면, ▲교원명퇴 확대로 2017년까지 1만5000명 채용 여력 확보 ▲1만명 간호 인력 확충 ▲어린이집 및 유치원 보육·유치원교사 채용 지원 확대 ▲시간선택제 공무원 4500명 채용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공공기관 채용 8000명 등이다.

이어 ▲청년고용증대세세 신설 ▲연 1만명 규모의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제도 운용 ▲청년인턴제를 우량 중소·중견기업 연 5만명 규모로 확대 ▲유망·성장 직종에 직업훈련 연 5만명 확대 ▲노동개혁 가속화 ▲서비스분야 경제활성화 법안 조속한 국회 통과 주력 ▲유망산업 육성 등이 세부방안으로 포함됐다.

미스매치 해소는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확대 ▲산학협력 선도대학 취업성과 반영 ▲재학생 단계의 일·학습 병행제 지속 확산 ▲대학 세부 전공별로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제시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추진계획 확정 ▲근로여건 개선,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 등으로 중소기업 취업 촉진 등이다.

정책효과 제고 부문은 ▲부처별 청년 일자리사업 18개로 통폐합 ▲‘청년내 일찾기 패키지’ 신설, 연 20만명 지원 ▲청년고용센터 전국 확대, 다른 청년 취업기능과 연계 강화 ▲청년 해외취업 연 1만명 규모로 확대 ▲케이무브(K-Move) 사업 재정비 ▲케이무브 센터 5곳 추가 설치 ▲민간 알선시장의 가격·진입 규제 개선 등이다.

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