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선관위, 보안기술 빠진 줄도 모르고 온라인투표 운영

[국감]선관위, 보안기술 빠진 줄도 모르고 온라인투표 운영

등록 2015.09.11 08:31

수정 2015.09.11 09:40

이창희

  기자

공유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새정치연합 제공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새정치연합 제공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2013년부터 각종 민간단체 선거에 제공해 온 ‘온라인투표시스템(K-Voting)’이 핵심 암호화 기술을 모두 빠뜨린 채 운영돼 온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따르면 선관위는 2013년부터 지금까지 총 360개 단체의 선거에 온라인투표시스템을 지원해 선거인수 약 46만명, 투표자 수 약 24만명으로 평균 52.4%의 높은 투표율을 보이는 등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해당 온라인투표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제보에 따라 지난 6월 검찰이 조사에 착수, KT를 압수 수색했다.

선관위가 KT와 공동으로 개발한 온라인투표시스템은 KT가 시스템 운영·관리 하청업체로 선정한 E-맥소프트사와 핸디소프트사, K-SKY소프트사 간 수익 및 지분 다툼 과정에서 암호화 기술 전부가 빠져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핵심 3대 암호화 기술은 투표자의 투표지가 정당한 투표값임을 확인하는 ‘은닉서명’과 투표값의 위변조가 없었는지 및 개표가 정당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비트위임’, 특정인이 단독으로 임의개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키분할’ 기술 등이다.

7월 검찰의 압수수색 이후 8월에서야 암호화 기술 적용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며 수습에 나선 선관위는 한 달이 넘도록 문제를 방관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정 의원의 주장이다.

정 의원은 “선관위의 안일한 보안의식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우리 유권자들”이라며 “검찰의 조사 내용을 떠나서 선관위가 투표와 관련된 시스템을 전적으로 민간에 맡겨 놓고 단 한번도 점검 및 검증을 하지 않은 것은 심각한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온라인투표의 효용성과 비용 절감을 강조하기 이전에 선거의 공정성을 담보하는 길은 투명성과 보안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간과하지 않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창희 기자 allnewone@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