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 경영권 상실···아들 조원태 사장 체제로(종합)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 경영권 상실···아들 조원태 사장 체제로(종합)

등록 2019.03.27 13:03

이세정

  기자

공유

정기 주총서 사내이사 재선임안 부결미등기 회장직 유지 가능성···경영참여 권한 없어아들 조 사장 체제 빠르게 전환할 듯···공백 최소화

사진=대한항공 제공사진=대한항공 제공

조양호 대한항공 회장의 사내이사 연임이 불발되면서, 조 회장 아들인 조원태 사장 체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27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빌딩 5층에서 제57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조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 안건 등 4개 의안을 표결에 부쳤다. 주총에는 조 회장과 조 사장 모두 참석하지 않았다.

이날 주총의 최대 화두는 조 회장의 연임 여부였다. 총회에 출석한 주주는 위임장 제출 등을 포함해 5789명이고, 주식수는 7004만946주다. 의결권이 있는 주식총수는 전체 주식수의 73.84%다.

투표 결과 찬성 64.1%, 반대 35.9%로 조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안은 부결됐다. 현행 대한항공 정관에 따르면 조 회장이 연임하기 위해서는 참석 주주의 3분의 2(66.6%)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조 회장은 약 2%의 우호지분을 확보하지 못해 사내이사에서 내려오게 됐다. 2대 주주(11.56%)인 국민연금은 전날(26일) 열린 수탁자위원회에서 조 회장 재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하기로 결정했다. 해외 공적 연기금인 플로리다연금(SBAF), 캐나다연금(CPPIB), BCI(브리티시컬럼비아투자공사) 등은 의결권행사 사전 공시에서 조 회장 연임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 같은 움직임이 소액주주들의 투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 회장은 지난 1992년 대한항공 등기임원에 오른지 27년만에, 1999년 대한항공 최고경영자(CEO)가 된 지 20년 만에 대표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다만 조 회장이 미등기임원으로서 회장직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사 운영, 비전, 투자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이나 이사회 참석 권한이 없어 지배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조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대한항공 지분율에 변동이 없고 조 사장이 그룹 경영을 이어받는 만큼, 수면 아래에서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는다.

조 회장의 비자발적인 퇴진으로, 대한항공은 조 사장 체제를 구축하는데 속도를 내게 된다. 총수 일가 중 대한항공 이사진에 이름을 올린 것은 조 사장이 유일하다. 경영 공백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조 사장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란 분석이다.

조 회장이 이사진에서 빠지면서 3명의 대표이사 체제에서 등 2명의 공동 대표이사(조원태 사장·우기홍 부사장) 체제로 재편됐다. 이사회도 9명(사내이사 4명·사외이사 5명)에서 8명(사내이사 3명·사외이사 5명) 체제가 됐다.

현재 조 사장을 비롯해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부사장과 이수근 대한항공 기술부문 부사장이 사내이사에 올라있다. 대한항공은 정관에 따라 조만간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추가로 사내이사 선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 회장의 후임자는 미정이다.

우 부사장은 조 회장의 최측근 중 한명으로, 조 사장을 도와 안정적인 경영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롭게 선임될 사내이사도 조 사장의 조력자 역할을 해낼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조 사장은 1976년생으로 올해 44세로, 미국 마리안고등학교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2003년 8월 한진정보통신 영업기획 차장으로 처음 입사한 뒤 이듬해에 대한항공 경영전략본부 경영기획팀 부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9년 여객사업본부 본부장(상무), 2011년 경영전략본부장(전무), 2013년 화물사업본부장(부사장), 2016년 총괄부사장, 2017년 사장 등 초고속 승진을 거듭했다.

특히 조 사장은 그룹 지주사인 한진칼, 계열사인 진에어 대표이사 등도 거치며, 조 회장의 뒤를 이을 차기 후계자로 평가받고 있다.

조 사장은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 칼날에서도 비교적 안전지대에 있다. 그의 사내이사 임기는 오는 2021년 3월까지로, 앞으로 2년간은 경영권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오늘 주총 결정에 따른 대한항공 경영 등 관련 사항은 절차를 밟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