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종구 금융위원장 “아시아나, 30년 시간 있었는데 3년이 의미있겠나”

최종구 금융위원장 “아시아나, 30년 시간 있었는데 3년이 의미있겠나”

등록 2019.04.11 11:46

수정 2019.04.11 12:09

한재희

  기자

공유

최종구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제공최종구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채권단은 대주주 재기가 아니라 아시아나그룹을 살리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1일 서울 을지로 신한생명본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시아나그룹의 자구계획에 대해 “박삼구 전 회장이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퇴진하겠다고 했는데 다시 3년을 달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봐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채권단이 판단할 대 회사가 제출한 자구계획이 진정성을 가지고 최선을 다한 것인지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면서 “박 회장이 물러나고 아들이 경영한다고 하는데 그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달라진다고 해서 기대를 할만한지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동안 아시아나그룹에 시간이 없었나”라고 질문을 던지며 “어떤 면에서 보면 30년이란 시간이 주어졌다”면서 3년이란 시간을 더 요구한 것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산업은행에 따로 전달한 바는 없지만 이러한 원칙에 입각해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오너가(家)가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 전량을 담보로 내놓다는 등의 자구계획을 제출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제시한 자구계획엔 박삼구 전 회장 부인과 딸이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 전량(13만3900주, 지분율 4.8%)을 담보로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금호타이어 담보가 해지되면 박 전 회장과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의 지분 42.7%도 추가로 내놓기로 했다.

또 금호아시아나 측은 재무구조개선 약정(MOU)을 맺고 3년간 산은에 경영정상화 이행 여부를 평가받겠다고 했으며 기준 미달 시 산은이 아시아나항공의 M&A를 진행할 수 있다는 조건도 달았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