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서울 사대문 진입시 과태료 25만원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서울 사대문 진입시 과태료 25만원

등록 2019.12.02 08:37

김선민

  기자

공유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서울 사대문 진입시 과태료 25만원. 사진=JTBC 뉴스 캡쳐‘배출가스 5등급 차량’ 서울 사대문 진입시 과태료 25만원. 사진=JTBC 뉴스 캡쳐

서울 도심 내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이 본격 실시됐다.

지난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12월부터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한양도성 내 16.7㎢)내 공해유발 5등급 차량 운행제한에 들어간다. 또 녹색교통지역에 4개 노선의 ‘녹색순환버스’를 운영하고 오는 2021년까지 강남과 여의도를 녹색교통지역으로 확대한다.

녹색교통지역 운행제한은 도심 지역 내 자동차가 배출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고 교통량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다. 녹색교통지역은 종로구 8개동(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가회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과 중구 7개동(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이 포함된다.

매일 오전 6시부터 밤 9시까지, 저공해 조치를 하지 않은 전국의 5등급 차량이 서울 도심인 사대문 안의 ‘녹색교통지역’에 진입하면 과태료 25만 원이 부과된다. 차량 단속 첫날인 지난 1일 하루 간 부과된 과태료만 1억원이 넘었다.

녹색교통지역 모든 진출입로(45개소)에 설치된 카메라(자동차 통행관리 시스템)를 통해 자동으로 단속이 이뤄지며, 진입 후 약 10초 후 차주에게 실시간 메시지로 통보된다.

배출가스 5등급 차량 확인은 환경부가 운영하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사이트에서 ‘소유차량 등급조회’를 통해 할 수 있다.

5등급 차량기준은 경유 차량은 ‘자동차 배출가스등급 산정기준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2002년 7월 1일 이전 기준적용 차종이며, 휘발유·가스 차량은 1987년 이전 기준적용 차종이다.

단, 장애인 차량이나 긴급차량 등은 단속에서 제외된다. 또 지난 10월까지 각 지자체에 저공해 조치를 신청했으나 조치가 완료되지 않은 차량은 내년 6월 말까지, 저감장치가 개발되지 않았거나, 달 수 없는 차종의 자동차는 내년 12월 말까지 단속이 유예된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