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임대주택 품질 차별···국토부가 수년째 관련 공사비 묶은 탓

부동산 부동산일반

임대주택 품질 차별···국토부가 수년째 관련 공사비 묶은 탓

등록 2023.09.15 16:27

장귀용

  기자

공유

'분양가 적용' 기본형건축비 1㎡당 197만6000원으로 1.7% 인상'임대주택' 표준건축비, 30년간 기본형 대비 95→57%로 떨어져사업성 하락으로 주택공급 차질···용적률 인센티브 효과도 반감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아파트. 전면의 임대동과 뒤쪽의 일반동이 외관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다. 사진=네이버지도로드뷰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아파트. 전면의 임대동과 뒤쪽의 일반동이 외관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다. 사진=네이버지도로드뷰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A아파트. 전용 84㎡가 지난 8월 실거래가로 30억2500만원인 고가 아파트다. 최고층 수 33층에 달하는 고층단지인 이곳은 유독 북쪽후문에 위치한 2개 동만 높이도 7층으로 낮고 외벽색도 다르다. 임대주택들로 이뤄진 임대동이다.

조합원들과 일반분양자들이 거주하는 '분양동'과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되는 '임대동'을 지을 때 자재품질 등에서 차등을 두는 단지가 많다. 일각에선 차별주의와 선민의식의 산물이란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업계에선 정부가 임대주택 매입가를 산정할 때 기준으로 삼는 기준인 '표준형건축비'가 터무니없이 낮은 탓에 벌어진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토교통부는 15일 고시를 통해 기본형건축비를 1㎡당 194만3000원에서 197만600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기본형건축비는 분양가상한제 주택(16∼26층 이하, 전용면적 60∼85㎡, 지상층)의 공사비를 산정할 때 기준이 된다. 매년 3월과 9월 정기고시를 통해 정해진다.

국토교통부는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이 기본형건축비를 인상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번 고시 이후 레미콘은 7.84%, 창호 유리는 1.00% 가격이 상승했다. 철근공 5.01%, 보통 인부 2.21% 등 인건비도 올랐다.

반면 기본형건축비와 함께 양대 축을 이루는 표준건축비는 기본형건축비 대비 57%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1999년만 해도 기본형건축비의 97% 수준이었지만 기본형건축비가 꾸준히 오를 동안 표준건축비는 제자리걸음을 한 탓이다. 건축비는 민간 분양 아파트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와 공공임대주택에 적용되는 표준형 건축비로 나뉜다.

실제로 인상 횟수와 인상률 모두 기본형건축비가 월등히 높다. 지난 15년간 분양아파트 건축비는 32번에 걸쳐 70.4% 인상됐다. 반면 표준건축비는 2016년 6월 5% 인상을 끝으로 6년 넘게 동결해 오다 올해 2월 9.8%를 인상했다.

업계에선 표준건축비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의 품질 차이도 생겼다고 지적한다. 분양주택은 마감재나 구조설계의 품질을 높여서 비용을 올릴 수 있고 각종 옵션비용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임대주택은 공사비가 제한되는 탓에 품질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

공공임대주택은 조합 등 사업시행자가 임대주택을 지으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기관이 사들여 임대로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매입가는 공사비를 기준으로 산정하는데 이때 공사비는 표준건축비 이하로만 인정된다. 자재품질이나 설계의 수준을 높인다고 하더라도 표준건축비 이상으로는 공사비를 받을 수 없다. 공급자 입장에선 임대주택을 1채 지을 때마다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주택‧리츠업계는 표준건축비를 올려도 임대료가 크게 오르지도 않는다고 주장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표준건축비를 10% 인상했을 때 표준임대보증금이 평균 3.8%, 표준임대료는 평균 4.9% 정도가 오르는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지수 상승률도 0.00022%P 오르는 데 그칠 것으로 봤다.

8월11일 서울시에서 공고한 공공임대주택 모집공고에 따르면 33개 단지 가운데 가장 임대료가 비싼 곳은 상암월드컵1단지 전용 49㎡로 월 30만1600원의 월세가 부과된다. 보증금은 2187만원이다. 위의 계산을 적용하면 표준건축비를 10% 올려도 보증금은 약 90만원, 임대료는 약 1만5000원이 오르는 데 그친다.

업계에선 낮은 표준건축비로 인해 사업성이 악화해 주택공급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나 정치계에선 주택공급을 활성화한다는 취지에서 용적률 상향혜택을 내걸면서 상승분의 50%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조건을 내걸고 있다"면서 "임대주택이 늘어나는 만큼 발생하는 공사비 손해를 감안하면 매력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