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효익까지 포함한 복합적 경제 효과 분석
자비스앤빌런즈 정책연구소 삼쩜삼 리서치랩은 최근 '세무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 추정'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직접적인 경제 효익은 2조4548억원으로 나타났다. 2020년 삼쩜삼 출시 이후 6년간 누적 환급신고액 2조139억원을 환급 실현액으로 집계하고 삼쩜삼을 이용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했을 것으로 추산되는 세무대리 신고 비용 3957억원과 시간 비용 452억원을 합산한 수치다.
간접 경제 효익은 8101억원으로, 직접적 경제 효익이 개인의 소비로 이어져 내수 경제에 기여한 '소비 진작 효과'(1차 효과)가 4269억원으로 가장 컸다. 추가 소득 중 저축이 아닌 소비로 전환되는 비율인 한계소비성향을 적용해 측정했다.
이전소득 승수 효과는 383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차 효과를 제외한 2차 이후의 순수 파급 효과만 따로 계산한 것이다. 이전소득 승수는 정부의 이전지출이 국내총생산을 얼마나 증가시키는지 나타내는 개념이다.
삼쩜삼 리서치랩은 세무 플랫폼의 무형적인 효과도 뚜렷하다고 강조했다. 복잡한 절차로 인해 세금 환급을 알지 못했던 일반 납세자들이 환급 권리를 이해했다는 주장이다.
채이배 삼쩜삼 리서치랩 소장은 "향후 AI 고도화를 통해 더 많은 국민과 납세자에게 실질적인 효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