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소득 과세 개편, 투자 다각화가 성장의 열쇠반도체, AI 등 신산업 확장과 외국인 자금 유입 중요성 부각정부 정책의 연속성과 시장 신뢰 회복이 변수로 지목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정은보 이사장 주재로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시장전문가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회의에는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 이병건 DB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 고태봉 iM증권 리서치본부장,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 김진욱 한국씨티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 국내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6명이 참석해 향후 시장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거래소는 코스피 5000 시대 달성을 위해 세제 개편, 투자상품 다양화, 시장 신뢰도 제고 등 구조적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며 "밸류에이션 제고와 함께 국내외 투자자 모두가 신뢰하는 글로벌 경쟁 시장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코스피가 최근 반도체주 호조와 정부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러한 흐름이 단기 반등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구조적 성장 기반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세제·거버넌스·산업정책의 연속적인 이행이 5000포인트 달성의 전제조건으로 제시됐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하고 신용팽창이 확대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까지 진행돼 유동성 환경이 긍정적"이라며 "다만 국내에서는 통합 배당과세가 지나치게 높아 자본의 효율적 재배치와 주주환원 강화를 위해 세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조선, 방산 등 일부 업종의 경쟁력에 치우친 현 구조에서 벗어나 가격·기술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중장기 산업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건 DB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이 가시화되지 않아 신뢰 확보가 관건이었지만 수출 증가세와 반도체 업황 반등을 고려하면 상승 여력은 남아 있다"며 "ETF 배당소득 과세 체계 등 세제·거버넌스 개편을 종합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스피의 상승 동력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집중된 만큼 업종 확산이 병행돼야 5000 시대를 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내년 코스피 상단을 4500으로 제시하며 "미국 시장의 유동성 유지, AI 투자 강세 지속,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영업이익 증가, 정부의 꾸준한 시장 부양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된다면 5000포인트 돌파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예상보다 빠르게 상단 밴드에 도달한 만큼 향후 정책 연속성 여부가 중장기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 자금 유입을 위한 환율 관리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수준으로 환율이 점진적으로 안정되는 흐름이 보여야 외국인 투자심리가 회복된다"며 "정부가 구두 개입 등을 통해 환차익 기대감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신규·테마·레버리지 ETF 확대는 투자 저변을 넓히고 비투자층 유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자본시장과 실물경제 간 괴리를 지적하며 AI 산업 성장펀드의 '실물 연결'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과 150조원 규모 성장펀드가 단순한 산업 육성을 넘어 기업 이익(EPS)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AI 투자 성과가 코스닥 등 중소기업에도 확산될 수 있도록 체질 개선과 제도 개편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욱 한국씨티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지배구조 개편안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여부에 민감하다"며 "이들이 시장친화적으로 처리될 경우 한국 증시의 신뢰 회복에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거버넌스 개선이 미흡할 경우 오히려 주가의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호겸 기자
hkkim82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