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두나무, 상반기 영업이익 5491억원···전년比 11%↑
두나무가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8019억원, 영업이익 549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11% 성장했다. 실적 개선은 가상자산 시장 회복과 글로벌 규제 논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두나무는 투자자 보호와 건전한 시장 조성을 위해 내부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총 425건 검색]
상세검색
블록체인
두나무, 상반기 영업이익 5491억원···전년比 11%↑
두나무가 2025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8019억원, 영업이익 549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11% 성장했다. 실적 개선은 가상자산 시장 회복과 글로벌 규제 논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두나무는 투자자 보호와 건전한 시장 조성을 위해 내부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블록체인
비트코인, 12.3만 달러 돌파···사상 최고가 경신
비트코인이 12만3560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가상자산 시장 강세를 보였다. 이더리움 역시 연중 최고치에 근접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국 경제 정책, 부채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추가 상승을 전망했다.
증권·자산운용사
메리츠증권 "발행어음 자금, 기업금융·모험자본에 대부분 투입 예정"
메리츠증권이 발행어음 인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이를 통해 조달된 자금으로 기업금융과 모험자본 공급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종민 메리츠증권 대표는 13일 올해 2분기 경영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발행어음 인가를 받게 되면 어떻게 자금을 운용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조달된 자금을 자본시장 활성화라는 본연의 목적에 맞게 활용할 것"이라며 "기업금융과 모험자본 공급을 규제 요구보다 대폭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현행 규제상 기업
블록체인
이건우 코인베이스 제품 총괄 "디지털자산, 美선 이미 보편화···제도화 속도 내야"
코인베이스는 10억 명 유저 확장을 목표로 가상자산과 전통금융을 연결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미국에서는 디지털자산이 이미 일상화되고 있으며, 명확한 규제와 소비자 보호가 산업 성장의 핵심으로 꼽혔다. NFT, 스테이킹 등 신상품과 플랫폼 혁신이 강조됐다.
블록체인
두나무, '2025년 공정거래 자율준수 서약식' 진행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 기업으로, 최근 공정거래 자율준수 서약식을 개최했다. 7개 실천 과제를 명문화하고, 전담 조직 구성 및 임직원 교육 등으로 내부 통제와 정책을 강화했다. 투명한 거래 질서 확립과 핀테크 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앞장 설 계획이다.
shorts
"비트코인 13~15만 달러 가는 진짜 근거 나왔습니다"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는 지난 6월 17일 '제7회 블록체인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 변곡점을 맞은 디지털자산(가상자산)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이날 브라이언 김 커런트웨이브 대표는 '디지털 자산 투자와 자산 분석'을 주제로 2부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은행
iM뱅크,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출원···"디지털 자산 기술 내재화"
iM뱅크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12건을 출원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오픈블록체인·DID협회 합류와 함께, 향후 관련 법 제도화에 맞춰 디지털 금융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기술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
게임
[NW리포트]게임 대변혁 '스테이블코인'이 이끌까
국내 게임업계가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함께 블록체인 게임, 웹3 시장 진출에 다시 나서고 있다. 업계는 가상자산의 안정성이 블록체인 게임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나, 여전한 규제와 명확한 성공 사례 부재로 신중론도 존재한다.
블록체인
두나무-네이버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제 사업 협력
네이버페이와 업비트가 원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결제 사업에 손잡고 나선다. 두나무는 네이버페이의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법적 규제 정비에 따라 사업 추진 방식이 결정될 예정이다. 여당이 관련 법안을 발의하며 은행과 핀테크 업계도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종목
한달간 주가 26% 뛴 카카오뱅크 '주춤'···스테이블코인으로 다시 탄력받을까
카카오뱅크 주가는 최근 한 달간 60% 가까이 급등한 뒤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와 스테이블코인 신중론 등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대출자산 비중이 높은 점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으며, 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 서비스 확대가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주목받는다. 증권가는 향후 정책 변화와 디지털 금융 혁신을 변수로 보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