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디지털자산 TF' 공식 출범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가 디지털자산 산업 진흥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공식 출범했다. 출범식에는 국회와 산업계 인사들이 참석해 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 현물 ETF 등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업계 경쟁력 확보와 실질적 규제개선 및 정책 개발이 목표이다.
[총 585건 검색]
상세검색
블록체인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디지털자산 TF' 공식 출범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가 디지털자산 산업 진흥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공식 출범했다. 출범식에는 국회와 산업계 인사들이 참석해 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 현물 ETF 등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업계 경쟁력 확보와 실질적 규제개선 및 정책 개발이 목표이다.
투자전략
RWA·STO 시장, 앞으로 더 커진다···"로빈후드는 저평가 단계"
로빈후드는 실물자산 토큰화(RWA) 시장에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유통 채널을 선도하며 금융 혁신을 이끌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OTC 파생 토큰을 통한 준법 및 수익성 강화로 저평가 구간에 놓여 있으며, 글로벌 RWA 시장은 2035년까지 최대 85조600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블록체인
민병덕·안도걸 "디지털경제 영토 확장해야···스테이블코인 제도화 앞장설 것"
민병덕과 안도걸 의원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 자본시장과 실물경제 연결을 위한 핵심 도구로 블록체인과 K콘텐츠 연계를 제시했으며, 자금세탁방지 등 규제와 관리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디지털경제 영토 확장을 위한 정책 논의가 이어졌다.
블록체인
김서준 해시드 대표 "한국, 디지털G2 역량 갖춰···국가 단위 전략 필요"
김서준 해시드 대표가 AI, 블록체인, 양자컴퓨팅 등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디지털G2 국가로 도약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시민권, 스테이블코인, 디지털 통화 인프라 등 새로운 국가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글로벌 리더십의 기회를 짚었다.
블록체인
민병덕 의원 "후발주자여도 시장 선도 가능···기회 잡아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웹3 생태계 혁신과 디지털자산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조하며, 규제 혁신과 정책 변화가 산업 도약의 핵심임을 피력했다. 전문가들은 블록체인 기반 신규 시장 창출,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 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제언했다.
증권일반
안도걸 의원 "전문가들과 TF 구성···다음주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 예정"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문가 태스크포스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다음주 발의할 계획이다. 해당 법안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요건의 인가제 전환 등 제도화에 중점을 두며, 금융당국과 정부 기관의 협업으로 시장 안정과 투자자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증권일반
신한투자증권, 한국예탁결제원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실증 사업 완료
신한투자증권이 한국예탁결제원이 주관한 8개월간의 토큰증권(Security Token) 테스트베드 사업에 참여해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과 운영 시스템의 검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번 실증 사업은 신한, SK, LS증권 등 다수 증권사가 참여해 시장 인프라를 사전 점검했으며, 향후 STO 시장에서 전략적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한다.
shorts
한국도 이 3가지만 하면 스테이블코인 판 깔린다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는 지난 6월 17일 '제7회 블록체인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 변곡점을 맞은 디지털자산(가상자산)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이날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겸 금융법연구센터 센터장은 '디지털 자산 빅뱅: 비트코인의 미래를 읽다'를 주제로 1부 강연을 펼쳤습니다.
금융일반
한은 CBDC 2차 실험, 장기 로드맵 부재로 잠정 중단
한국은행이 추진하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2차 실험이 은행들의 막대한 비용 부담과 장기 로드맵 부재로 중단됐다. 참여 은행들은 350억원 이상의 투자를 진행했으나, 사업의 불확실성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등 대안 디지털화폐 전략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다.
블록체인
김갑래 선임연구위원 "디지털자산시장 육성 넘어 공정까지···시장확대 위해 진입규제 낮춰야"
김갑래 금융법연구센터장은 국내 디지털자산 시장 육성을 위해 진입 규제 완화와 사후적 제재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자산 허브 정책에는 정보 비대칭 해소, 투자자 보호 장치, 국제적 트렌드를 반영한 새로운 입법이 필수임을 밝혔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