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미래부, CCS 기술에 230억원 투입

미래부, CCS 기술에 230억원 투입

등록 2013.06.19 14:27

김은경

  기자

공유

미래창조과학부는 기후변화를 해결할 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기술(CCS) 개발을 위해 230억원을 투자한다고 19일 밝혔다.

미래부는 CCS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지난 2011년 CCS 거점기관으로 한국이산화탄소포집 및 처리연구개발센터(KCRC)를 설립하고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Korea CCS 2020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투자 예산비중을 늘린 올해부턴 CO2 흡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세계 최저 수준인 2.5GJ(Giga Joule)/톤CO2로 낮추는 습식공정 개발 등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세계최고 흡수제 대비 2배 이상의 흡수능력을 가지면서도 50% 이하의 반응열을 갖는 흡수제를 개발완료한데 이어 흡수속도를 세계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성공시 현재 에너지 소비량 2.8GJ/톤DCO2을 12% 개선한 흡수제 개발 및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부는 CCS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CO2 포집 및 전환기술 중 일부 원천기술에 대해 관련분야 최고의 석학들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를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KCRC를 거점센터로 해 습식분야 세계 최고 전문가 그룹 미팅 프로그램인 ‘루미난트 프로그램’과 미국 저장실증 프로젝트 'GCCC 파트너쉽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 같은 전문 프로그램을 활용할 경우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돼 연구기간 단축 및 기술개발 가속화 이끌 수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프로그램들이 구축해놓은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활용해 연구기간을 단축하고 기술개발을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