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여야는 남북 고위급 접촉 상황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우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22일 남북이 고위급 접촉을 갖기로 하면서부터 국회와 여의도 주변에 머물면서 비상체제에 돌입, 남북 협의 상황을 수시로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과 포격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를 화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 대표는 당시 남북이 이날 오후 고위 당국자 접촉을 갖기로 한 데 대해 “이번 남북간 대화를 통해 긴장완화에 도움될 수 있는 좋은 합의가 도출되길 기대한다”며 일단 환영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어 “이번 도발에 대해서 우리 국민들이 강력히 단결하고 군이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북의 대화 제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북이 도발을 멈추지 않으면 북의 파멸밖에 없다는 것을 북에 분명히 말한다.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 평화를 해치는 일로 더 이상 있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와 군은 상황이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빈틈없는 대응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며 “대화의 시작이 상황 종료가 아닌 만큼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대비는 철저히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대표는 전날 밤늦게까지 국회에 머무르면서 고위급 접촉을 지켜본 데 이어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 머무르면서 오후에 재개된 회담 상황을 수시로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대화를 통한 남북 간 갈등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번 회담이 남북관계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고 양측의 교류와 협력을 확장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새누리당과는 다소 의견차를 보였다.
지난 22일 고위급 접촉이 성사된 것과 관련해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남북당국은 이번 회담을 역주행한 남북관계를 정상화할 절호의 기회로 살리길 바란다”며 “남북당국은 이번 사건에 국한되지 말고 남북관계에 근본적인 대전기를 마련한다는 자세로 임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의 잇따른 도발 국면에서 ‘남북 고위급 접촉’ 해법을 제안했던 문 대표는 전격 성사된 고위급 접촉이 마라톤 협상으로 이어지자 고무된 모습을 보였다.
문 대표는 23일 주요 당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황점검회의를 개최, 협상이 결렬될 경우에 따른 대응 방안과 접경 지역 주민이 겪는 고통을 줄이고 이들 지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남북 접촉이 재개됐는데도 북한 잠수함 50여척의 위치가 식별되지 않는 등 수상한 정황에 대해서도 대책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정부가 야당과 상황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문 대표는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어제 회담 상황이라도 들을 수 있다면 각 정당이 국민과 함께 상황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아쉽다”고 밝히기도 했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회담 상황을 여야에 알렸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늘 알려드렸다”고 답했다.
한편 문 대표는 이날 “안보위기 관리하는 특별 기구를 두기로 했다”며 회담 재개에 맞춰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한반도 평화·안전보장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대북통’인 박지원 의원을 위원장에 임명했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haewoni8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