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우병우 구속···국정농단 고위 공직자 모두 구치소행

우병우 구속···국정농단 고위 공직자 모두 구치소행

등록 2017.12.15 08:06

전규식

  기자

공유

우병우 구속 사진 = 연합뉴스 제공우병우 구속 사진 = 연합뉴스 제공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구속됐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된 고위 공직자들이 모두 구치소에 갇혔다.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안봉근 전 국정홍보비서관도 최근 불거진 국정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 사건과 관련해 구속기소 됐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국정원 수사팀은 15일 새벽 우 전 수석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구속했다. 권순호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거쳐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권 부장판사는 영장 발부 사유로 “혐의사실이 소명되고 특별감찰관 사찰 관련 혐의에 관해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연내 핵심 인물 수사 종결을 목표로 한다. 수사는 우 전 수석 신병 확보를 계기로 사실상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우 전 수석은 박근혜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재직 당시 국정원에 지시해 공직자와 민간인을 광범위하게 불법 사찰한 혐의를 받는다. 사찰 당한 사람은 이석수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 박민권 1차관 등 문화체육관광부 간부들, 이광구 우리은행장, 김진선 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등 진보 성향의 교육감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관계자 등이다.

검찰은 우 전 수석이 자신의 비위 의혹을 내사하던 이 전 특별감찰관의 뒷조사를 국정원에 시킨 건 민정수석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사례로 본다.

우 전 수석은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인 지원 배제 명단(블랙리스트) 운영에 개입한 혐의도 받는다.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는 문체부가 우 전 수석의 지시로 지원 사업 예정 대상자 명단을 국정원에 보내면 국정원이 허가 여부를 결정해 통보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우 전 수석은 검찰 조사와 법원 영장심사 때 국정원에 불법사찰을 지시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민정수석의 직무권한 범위에서 통상적인 업무를 수행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한편, 우 전 수석은 지난해 가을부터 넥슨과의 강남역 인근 땅 고가 거래 의혹 등 개인 비위 의혹, 국정농단 사건 연루 의혹 등으로 검찰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다섯 차례 받았다. 이 과정에서 두 차례 구속영장이 청구됐으나 모두 법원에서 기각됐다. 개인비리 의혹과 관련해선 대부분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지난 4월에는 ‘최순실 게이트’ 진상 은폐에 가담한 혐의(직무유기)와 이 전 감찰관의 내사를 방해한 혐의(특별감찰관법 위반) 등으로만 불구속 기소됐다. 이에 대한 1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