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사상 최대 7300억원

작년 보험사기 적발액 사상 최대 7300억원

등록 2018.04.17 06:00

장기영

  기자

공유

보험사기 적발 금액 및 인원 추이. 자료=금융감독원보험사기 적발 금액 및 인원 추이. 자료=금융감독원

#1. A병원은 환자들이 실손의료보험으로 MRI 촬영비 등 고가의 진료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통원환자 등 입원이 불필요한 환자들에 허위 입원확인서를 발급했다. 또 시행하지 않은 도수치료를 한 것처럼 허위 도수치료확인서를 발급하거나 비의료인인 운동치료사를 고용해 도수치료를 시행해 7억4000만원을 편취했다.

#2. 보험대리점 소속 설계사 B씨는 친구 10명에게 다수의 보험에 가입하게 한 뒤 허위사고를 통해 입원, 수술, 장해 보험금을 청구하는 수법으로 5억7000만원을 타냈다.

지난해 이 같은 허위·과잉치료를 통한 손해보험 사기가 급증하면서 전체 보험사기 적발액이 사상 최대 규모인 7300억원을 넘어섰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액은 7302억원으로 전년 7185억원에 비해 117억원(1.6%)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적발액 6549억원과 비교해 753억원(11.5%)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 적발 금액이다.

적발 인원은 2016년 8만3012명에서 지난해 8만3535명으로 523명(0.6%)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적발액은 870만원으로 동일한 수준이었다.

보험 종목별로는 장기손해보험 보험사기 적발액이 2743억원에서 3046억원으로 303억원(11%) 증가했다. 특히 이 가운데 허위·과다입원 적발액은 840억원에서 1265억원으로 425억원(50.5%) 급증했다.

반면 자동차보험은 3231억원에서 3208억원으로 23억원(0.7%), 생명보험은 963억원에서 728억원으로 236억원(24.5%) 적발액이 감소했다.

박종각 금감원 보험사기대응단 부국장은 “지난해에는 대통령 선거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입원적정성 심사 지연 등으로 보험사기 수사 여건이 악화됐음에도 보험사기 적발액이 역대 최대 금액을 경신했다”며 “다수 보험에 가입한 후 허위 또는 과다 청구하는 입원, 장해 관련 장기손해보험 보험사기가 크게 증가한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연령대별 보험사기 비중은 경제활동 적령기인 30~50대는 줄고, 20대와 60대 이상은 늘었다.

20대의 경우 2015년 13.5%에서 2016년 14.4%, 지난해 15.5%로 비중이 확대됐다. 60대 이상 역시 2015년 12.9%에서 2016년 13.9%, 지난해 14.5%로 규모가 커졌다.

성별 적발 인원은 남성이 5만7368명(68.7%)으로 여성 2만6167명(31.3%)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박 부국장은 “보험사기를 통한 보험금 편취는 결국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져 가족, 친구 등 주변 이웃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이라며 “일상생활에서 보험사기를 알게 된 경우 주저하지 말고 금감원이나 보험사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