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민주, 행정수도 이어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군불때기’

민주, 행정수도 이어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군불때기’

등록 2020.07.24 21:10

공유

이전 대상·규모·시기는 '신중'···공공기관 설립시 입지영향평가도 거론···

‘세종시의 미래’ 강연하는 이해찬 대표. 사진=연합뉴스 제공‘세종시의 미래’ 강연하는 이해찬 대표. 사진=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이 행정수도 완성에 이어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위한 불씨를 지피고 있다.

이해찬 대표는 24일 서울 세종시에서 열린 ‘세종시 착공 13주년 토크콘서트’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1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평가가 다 정리됐다”며 “2차 혁신도시를 어떻게 추진할지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22일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만나 공공기관 2차 이전 계획 방향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이 대표는 지난 2018년 9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 중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이전 대상이 되는 122개 기관은 적합한 지역을 선정해 옮겨가도록 당정 간에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에 추진되는 2차 지방 이전 대상이 100여곳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김영배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2차 이전 검토 대상 공공기관을 150여개로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대상 및 규모를 언급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것이 당 입장이다.

당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1차 이전한 153개 공공기관에 대한 평가가 막 이뤄진 상태다. 이를 바탕으로 수요 조사 등 많은 과정이 남아 있다”며 “이전 대상이나 숫자를 언급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2차 이전 대상을 확정하는 시점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다만 연말까지는 로드맵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많다.

한 의원은 “2차 이전에 필요한 법과 예산을 준비하려면 정기국회가 끝나기 전에는 이전 규모가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국회는 오는 12월 9일 종료된다.

민주당은 공공기관 2차 이전과 함께 앞으로 공공기관을 신설할 때 입지 영향 평가를 통해 설립 위치를 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공공기관 설립 단계부터 수도권에 몰리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이 대표는 “1차 혁신도시가 만들어진 후 나온 산하기관이 200개에 이르는데 만들기만 하면 수도권에 만들어졌다"며 "입지 선정부터 사전 평가를 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김사열 위원장은 이날 국회 포럼 ‘자치와 균형’ 초청 강연에서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을 지방에 내려보내야 한다는 황명선 논산시장의 제안에 대해 ”대부분이 사립대라 공공기관처럼 강제성을 부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대는 법인화가 돼 있어 사립대 수준의 기관으로 변화가 됐다”며 “고충은 알지만, 현실적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