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홍남기 “업계선 차량용반도체 수급불안 5월 정점 예상”

홍남기 “업계선 차량용반도체 수급불안 5월 정점 예상”

등록 2021.05.06 14:35

주혜린

  기자

공유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6일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경기도 판교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열린 혁신성장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추진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대기업 세액공제는 일반 R&D의 경우 투자액의 0∼2% 수준으로 신성장·원천기술 R&D 투자를 했다면 투자액의 20∼30%를 세액공제 받는다.

홍 부총리는 “현재 시스템반도체 상생펀드와 성장펀드 등 5500억원을 조성해 지원하고 있고 올해 안에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반도체펀드 1000억원·DNA+BIG3 모태펀드 1000억원·시스템반도체 상생펀드 500억원 등을 새로 만들어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설자금 장기 저리융자 프로그램도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관련해 전력, 용수 등 기반시설에 대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AI 반도체 설계지원센터 등 공동활용시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인력 1만7000명 양성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업계가 메모리 분야를 포함해 규모를 2배 이상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며 “인력 양성 목표 상향을 추진하고 대학 내 학과조정, 대학원 정원증원 기준개정, 공동학과 신설 등을 통해 반도체 인력양성 확대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현재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국내외 완성차 생산에 차질이 생기고 있고 업계에서는 수급 불안이 5월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백신 접종 시 자가격리를 면제하는 제도를 활용해 부품을 조달하려는 기업 활동에 불편이 없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기간에 사업화 가능한 차량용 메모리 등 14개 품목을 발굴했으며 5월 중 사업공고를 거쳐 약 50억원을 차량용 반도체에 지원하는 등 ‘소부장’ 양산성능평가사업을 통해 신속히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인포테인먼트 AP’ 등 협업모델을 신속히 개발하고 중장기 차량용 반도체 기술개발 로드맵도 올해 말까지 차질없이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현장방문을 마치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초격차를 유지하고 시스템반도체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으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종합 전략인 ‘K-반도체 벨트전략’을 마련해 조만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