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재용, 가석방 무게 쏠리자···재계선 “정상경영 위해선 사면해야”

이재용, 가석방 무게 쏠리자···재계선 “정상경영 위해선 사면해야”

등록 2021.07.21 17:09

이지숙

  기자

공유

7월말 형기 60% 채워 가석방 요건 충족재계 “가석방 경영복귀 어려워···사면 필요”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광복절 가석방 대상자 명단에 오르며 ‘8월 가석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대해 재계에서는 “가석방 할 경우 경영복귀가 어려워진다”면서 “글로벌 반도체 전쟁을 승리로 이끌려면 사면이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21일 재계 및 법조계 등에 따르면 최근 서울구치소는 이 부회장이 포함된 광복절 가석방 대상자 명단을 법무부에 보고했다.

가석방의 경우 구치소·교도소가 예비심사를 통해 명단을 법무부에 올리면 법무부가 가석방심사위원회를 통해 최종 심사를 진행한다. 심사위원회는 다음달 초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후 법무부 장관 허가를 거쳐 가석방 명단이 정해진다.

이 부회장은 지난 1월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재판 과정에서 형기의 상당 부분을 복역해 이달 말이면 형기의 60%를 채워 가석방 요건을 갖추게 된다.

이 부회장의 가석방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됐다. 최근에는 정치권도 가석방에 힘을 보탰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전일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방문해 “가석방 요건은 법무부 지침상 60%를 마친 경우 대상이 된다”며 “원론적으로 특혜 시비가 없이 이 부회장도 8월이명 형기의 60%를 마친다고 한다.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부회장이 가석방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여러가지로 반도체 산업의 요구와 국민 정서, 본인이 60% 형기를 마친 점 등을 갖고 (정부가) 고민하고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단 재계에서는 특별사면보다 가석방 가능성에 무게가 쏠리며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사면의 경우 형 집행 자체를 면제해주는 만큼 모든 경영활동에 복귀할 수 있으나 가석방은 취업 제한, 해외출국 등 정상적인 경영활동에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삼성의 투자시계가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이 부회장이 경영에 복귀할 수 있는 특별 사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지난달 열린 회장단 회의에서 “지난 4월 이후 이재용 부회장의 사면을 경제부총리를 시작으로 청와대와 국무총리께 건의 드린 바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시기에 이 부회장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기회가 하루 빨리 만들어질 수 있길 바란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도 지난달 청와대 간담회에서 “반도체는 대형 투자 결정이 중요한데 총수가 있어야 의사 결정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고충을 토로한 바 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4대 그룹 대표의 이 부회장 사면 건의에 대해 “고충을 이해한다”고 언급해 특별사면 기대감을 높였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사면이 아닌 가석방될 경우 경영복귀에 어려움이 있어 삼성 입장에선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며 “이 부회장이 정상적으로 경영활동에 복귀할 수 있는 특별 사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