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제주 1위가 대통령 당선' 공식 깨졌다

'제주 1위가 대통령 당선' 공식 깨졌다

등록 2022.03.10 08:12

공유

제주서도 대선 개표 시작. 사진=연합뉴스제주서도 대선 개표 시작. 사진=연합뉴스

그동안 대통령 선거에서 쭉 들어맞았던 '제주에서 1위를 한 후보가 당선된다'는 공식이 20대 대선에서 깨졌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주지역 득표율은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이 42.69%(17만3천14표)로 2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2.59%(21만3천130표)로 1위를 각각 기록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는 윤 당선인이 48.56%를 득표, 이 후보(47.83%)를 앞서 당선의 영예를 안으며 '제주에서 1위를 한 대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공식이 깨졌다.

제주지역 인구와 유권자는 전국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13대 대선부터 19대 대선까지 제주에서 1위 한 후보가 청와대에 입성하면서 '정치 풍향계', '민심의 바로미터'로 분류됐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제주지역 역대 대선 후보별 득표율을 보면 직접선거가 재개된 13대 대선(1987년)에서는 노태우(민주정의당) 전 대통령이 49.77%(12만502표) 득표율로 1위를 했고, 전국에서도 36.64%를 얻어 최종 당선됐다.

14대 대선(1992년)에서는 김영삼(민주자유당) 전 대통령이 39.97%(10만4천292표)의 지지를 얻어 제주 1위를 차지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의 전국 득표율은 41.96%로, 제주 득표율과 1.99%포인트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15대 대선(1997년) 때는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전 대통령이 득표율 40.57%(11만1천9표)로 1위를 차지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의 제주 득표율은 전국 득표율(40.27%)과 0.3%포인트밖에 차이 나지 않았다.

16대 대선(2002년)에서도 노무현(새천년민주당) 전 대통령이 제주에서 56.05%(14만8천423표)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17대 대선(2007년)에서는 이명박(한나라당) 전 대통령이 제주에서 38.67%(9만6천495표)로 1위를 차지했다.

18대 대선(2012년)에서도 박근혜(새누리당) 전 대통령이 50.46%(16만6천184표), 문재인(민주통합당) 후보가 48.95%(16만1천235표)의 득표율을 기록해 제주가 민심의 축소판임을 다시금 보여줬다. 당시 전국 득표율도 박 후보가 51.55%, 문 후보가 48.02%로 제주 득표율과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9대 대선(2017년)에서는 문재인(더불어민주당) 대통령이 45.51%(16만9천493명), 안철수(국민의당) 후보가 20.90%(7만7천861명), 홍준표(자유한국당) 후보가 18.27%(6만8천63명)로 문 대통령이 1위였다. 당시 전국 득표율은 문 대통령 41.08%, 홍 후보 24.03%, 안 후보 21.41%로 이때도 '제주 1위가 전국 1위' 공식은 깨지지 않았다.

반면 이번 20대 선거에서는 접전 끝에 제주에서 9.9%포인트 차로 2위를 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정치 풍향계 제주의 표심이 처음으로 빗나가게 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