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홍남기 "시멘트 수입선 다변화·국내생산 독려···담합 엄정 대응"

홍남기 "시멘트 수입선 다변화·국내생산 독려···담합 엄정 대응"

등록 2022.04.28 15:08

주혜린

  기자

공유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2.11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2.11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시멘트 생산 원료인 유연탄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시멘트 국내 생산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사재기와 담합 행위는 엄정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시멘트 등 건설자재 수급 동향을 점검 및 대응' 안건 등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유연탄 가격이 연초 대비 2배 수준으로 급등하면서 시멘트 등 주요 건설자재의 수급 불안과 가격 상승을 야기했다"며 "봄철 건설경기 회복세가 제약되고 관련 업계 어려움이 가중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입 관리, 수급 관리, 물류 지원 등 세 가지 방향에서 현장 애로 완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산 유연탄의 국제 가격은 지난 1월 1t당 158.9달러에서 2월 186.6달러, 3월 294.6달러로 뛰었다.

홍 부총리는 "호주산 유연탄 수입 비중을 1.5배 확대하는 등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수입검사 최소화 등 24시간 신속 통관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유연탄 수입 비중은 러시아 75%, 호주 25%였으나 올해 1분기에는 호주산 비중이 38%로 증가했다.

홍 부총리는 "철근·시멘트 등 주요 자재의 국내 생산을 독려하고 조기경보시스템(EWS) 등급을 상향 조정하겠다"면서 "매점매석·담합행위 등에 대해서도 엄정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20% 수준인 시멘트 철도 수송 비중을 확대하고 노후 시멘트 화차 1200량을 향후 5년간 순차 교체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건설자재 가격 동향과 재고량은 주 단위로 업데이트해 제공한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