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수신 고객 지키기 나선 토스뱅크, "1억원 초과에도 2.3%적용"

금융 은행

수신 고객 지키기 나선 토스뱅크, "1억원 초과에도 2.3%적용"

등록 2022.10.21 12:26

한재희

  기자

공유

수시입출금 '토스뱅크통장' 금리 적용 한도 없애"출범 당시 정체성 회복···고객 신뢰에 보답"금리 인상기, 경쟁사 수신 금리 인상도 영향 미친듯

사진=토스뱅크 제공사진=토스뱅크 제공

토스뱅크가 수시입출금 통장인 '토스뱅크통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최대 금리 적용 한도를 폐지했다. 연 2.3% 금리를 1억원 초과 금액에도 적용한다는 것인데,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파킹통장의 금리가 2.5%를 넘어서는 등 금리 경쟁력 우위를 빼앗긴 상황에서 다시 고객을 되찾아오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토스뱅크는 전날부터 수시입출금식 통장인 '토스뱅크통장'의 2.3% 금리를 금액에 상관없이 적용했다.

이전까지 토스뱅크는 1억원까지만 2.3%의 이자를 지급하고 초과 금액에 대해서는 0.1% 이자만 제공해왔다. 이는 지난해 출범 당시 대출 규제에 따라 대출 영업을 중단하면서 비용 부담이 늘어나자 취한 조치다.

토스뱅크의 예대사업 흑자전환, 전체 흑자폭 감소 등 영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1억원 초과 금액에 대해서도 동일한 금리를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토스뱅크는 "토스뱅크 고객이라면 누구나 조건 없이 돈을 맡기고 불릴 수 있게 되며, 토스뱅크가 출범 당시 추구했던 정체성을 다시금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지금 이자 받기'를 이용할 경우 매일 고객이 원하는 때에 1번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이자를 모을 경우 일복리 효과까지 누릴 수 있다.

지금 이자받기의 경우 약 210만명의 고객이 한 번 이상 이용했으며, 약 173만(82.3%) 고객이 상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출시 후 7개월 간 고객들이 받은 이자는 총 1417억원 수준이다.

고객 혜택 강화 이면에는 경쟁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가 최근 파킹통장 금리를 2.6%(한도 1억원까지 적용), 2.5%(한도 3억원까지 적용)까지 올린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저축은행 역시 정기예금 금리가 최대 6.5%까지 오르면서 수신 고객 이탈이 거세질 것을 예상해 고객 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고객들의 성원에 힘입어 토스뱅크가 성장할 수 있었던 만큼, 출범 당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을 위한 서비스와 신뢰로 고객들에게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