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올해 주택연금 1.3만명 대상 19.9조원 공급

금융 금융일반

올해 주택연금 1.3만명 대상 19.9조원 공급

등록 2023.12.28 12:49

김민지

  기자

공유

[DB 금융위원회, 금융위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DB 금융위원회, 금융위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위원회와 주택금융공사는 올해 1월부터 1월 말까지 총 1만3000명, 19조9000억원 규모의 주택연금을 공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규모 대비 각각 18%, 37%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 10월 가입대상을 주택가격 9억원에서 12억원 이하로, 총대출한도를 5억원에서 6억원으로 넓히면서 주택연금 공급과 혜택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지난 10~11월 지원건수는 월 1300건으로 1~9월 평균 지원건수(1200건) 대비 약 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규 보증공급액 또한 월평균 2조1000억원 규모로 1~9월 대비 약 18% 증가했다. 월 지급액은 10~11월 평균 171만원으로 1~9월(146만원) 대비 약 17% 늘었다.

주택연금 가입자의 소득개선도 큰 폭으로 이뤄졌다. 주금공 자체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연금에 가입한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9만원 수준(소득분위 2분위/10분위)으로 나타났고 주택연금(평균 월 148만원)을 수령한 최종적인 소득은 월 267만원(소득분위 5분위/10분위)으로 두 배 이상 개선됐다.

아울러 올해 상대적으로 빈곤율이 높은 70~80대 고령층의 가입비중이 보다 확대됐다. 올해 주택연금 지원대상자 평균연령은 72.1세로 지난해(70.9세) 대비 상승했으며 80세 이상 지원 비중 또한 올해 19.5%로 지난해(15.6%) 대비 증가했다.

신탁방식은 2021년 제도 도입 이후 꾸준히 확대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신탁방식 가입비율은 43.5%로 시행 첫해인 2021년 대비(40.8%) 2.3%포인트 확대됐다. 제도 도입 이후 전체 지원건수 중 총 44.5%가 신탁방식으로 지원됐다.

금융위원회는 "인구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소득이 낮으신 분들이 가지고 있는 주택으로 노후생계를 걱정 없이 이어갈 수 있는 주택연금 제도가 우리 사회의 안전판으로 정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며 "보다 많은 국민이 더 큰 혜택을 받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개선이 이뤄질 수 있게 앞으로도 제도개선과 혜택확대에 매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ad

댓글